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연세암병원 형우진 교수, 위암 로봇수술 세계 최초 2000례 달성

(서울=뉴스1) 천선휴 기자 | 2023-08-21 10:03 송고
형우진 교수(왼쪽에서 네번째)가 의료진들과 함께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형우진 교수(왼쪽에서 네번째)가 의료진들과 함께 기념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제공)

세브란스병원은 연세암병원 위암센터 형우진 교수가 세계 최초로 2000번째 위암 로봇수술에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형 교수는 지난 18일 위암 환자 최모씨(58·남)의 위암 로봇수술을 성공적으로 끝냈다. 2005년 위암 환자에게 로봇수술을 시행한 이후 2000번째다.     
위암은 수술, 항암 화학요법 등으로 치료한다. 조기 위암에서는 내시경 절제술과 같은 최소 침습수술을 진행하지만 진행성 위암의 경우 위 절제 수술과 항암 화학요법을 병행하기도 한다.     

복강경 수술은 환자 복부에 10mm 정도의 구멍 2~3개를 내고 카메라가 장착된 내시경 도구를 삽입해 진행한다.     

최근에는 360도 회전할 수 있는 8mm의 얇은 로봇 팔로 수술하는 로봇수술이 많이 행해진다. 절개 부위가 넓지 않아 환자 부담은 줄이고 복부 내에서 로봇 팔이 360도 회전해 수술이 더욱 수월해졌다.     
형 교수는 이러한 로봇수술의 완성도를 더 높였다. 직접 개발한 수술용 내비게이션이 환자의 CT(컴퓨터 단층촬영) 영상을 익혀 자동으로 3차원 그래픽 화면을 만든다. 환자의 장기와 그 주변 혈관 분포를 디지털로 만들면서 맞춤형 로봇수술이 가능해졌다. 이 기술의 섬세함과 안정성은 직경 1mm의 얇은 혈관도 100% 찾아내는 임상실험을 통해서도 증명됐다.     

이에 더해 내시경으로 환자의 위 점막하층에 형광물질을 주입해 종양의 위치, 전이 경로 등을 시각화하는 형광 유도 위절제술을 도입해 수술 중 집도의의 판단 기준을 마련했다.     
 



sssunhue@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