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28일(현지시간)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미얀마에서 인터넷 검열로 인해 정확한 피해 파악의 어려움이 이어지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지진 발생 직후 미얀마 군사정부가 운영하는 여러 공식 웹사이트에 대한 접속이 끊겼다.
군사정부는 2021년 쿠데타로 아웅 산 수 치 여사가 이끌던 민간 정부를 끌어내린 후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접근을 차단했다. 그러나 인터넷 인프라를 손상시킬 수 있는 지진과 같은 재난에서 인터넷 차단 정책은 정보 공유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국제 원조 전달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제앰네스티의 미얀마 전문가인 조 프리먼은 인터넷 차단과 검열이 미얀마에서 발생한 재난의 범위와 규모를 파악하는 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진의 피해 규모가 광범위하게 보고되고 기록된 태국과 미얀마를 비교하면 미얀마의 피해 규모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당분간 이런 상황이 계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프리먼은 또 반군과 군부가 전투를 벌이고 있는 지역에서 인터넷 연결 상태가 특히 나쁘다며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주민들이 위성 기반 서비스인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다만 일부 지역은 인터넷 연결성이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한편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28일 수도 네피도와 제2의 도시 만달레이를 포함한 6개 피해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그는 지진으로 인해 144명이 숨지고 732명이 다쳤다며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미얀마 군부 수장으로는 이례적으로 국제 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 지진으로 인해 사망자가 1만 명 이상 발생할 가능성이 71%인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적 피해는 미얀마 국내총생산(GDP)인 약 643억 달러(약 947조 원)를 넘을 수도 있다.
gw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