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뉴스1) 윤용민 기자 =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나온 보훈처 간부의 이른바 '무릎' 발언을 놓고 당사자들간 진실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오월어머니집 측은 '성희롱'이라며 발언 당사자의 해임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해당 간부는 오해에서 비롯된 일종의 '해프닝'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26일 국가보훈처 광주지방보훈청과 오월어머니집 관계자들의 주장을 종합해보면, 지난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6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보훈청 소속 A 총무과장이 빈자리를 찾던 오월어머니집 노영숙 관장(62)에게 '무릎' 발언을 했다.
당시 A 과장은 4·3항쟁 유가족의 자리배정을 요청하던 노 관장에게 "자리가 없으면 내 무릎에라도 앉으면 되겠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장면을 목격한 광주시 김수아 인권평화협력관이 항의를 하자 A 과장은 서둘러 자리를 떠났다.
노 관장은 당시 기념식 직전이었기 때문에 대응을 자제했다고 한다.
오월어머니집은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때 피붙이를 잃거나 옥바라지를 해온 어머니들로 구성돼 있는 사단법인이다.
문제는 양측이 이 발언의 의도를 다르게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노 관장은 "너무나도 큰 수치심과 모욕감을 느겼다"며 "명백한 성희롱 발언"이라며 A 과장의 해임을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A 과장은 "'좌석이 없으면 저희 무릎이라도 내어 드려야죠'라는 취지로 말한 것이 발단이 됐다"며 "어떻게든 자리를 만들겠다는 뜻으로 한 이야기를 노 관장이 오해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A 과장은 기념식장에서 바로 사과했다고 했지만, 노 관장은 그러한 사실이 없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국가보훈처는 이 사건과 관련해 지난 24일부터 자체감사를 벌이고 있으며, 양측의 입장을 종합해 조만간 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sal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