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기계연 ‘땀 포도당 수치 진단’ 웨어러블 기술 개발

나노구조체가 전사된 전기방사 섬유의 개발과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 콘세트. (KAIST 제공)/뉴스1
나노구조체가 전사된 전기방사 섬유의 개발과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 콘세트. (KAIST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땀의 포도당 수치를 진단하는 웨어러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와 한국기계연구원(KIMM) 정준호 박사 공동연구팀은 '전기방사 섬유 상 금속 및 금속산화물 기반 나노구조체 전사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일상 속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을 위해 기반 고분자의 열적 거동 특성(열 변형 특성) 및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통한 표면 특성을 고려해 신축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케일의 전기방사 섬유 위 금속·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의 안정적인 전사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연구팀은 금속·금속산화물 기반의 정교한 나노구조체를 수 마이크로 스케일의 곡면 형태인 전기방사 섬유 위에 전사하는 안정적인 공정을 개발했다.

이로써 나노 원형, 마이크로 원형, 나노 사각형, 나노 그물, 나노 라인, 나노 십자가와 같은 다양한 구조체의 전기방사 섬유 상 전사가 가능할 뿐 아니라, 금, 은, 알루미늄, 니켈과 같은 금속 재료부터 이산화티타늄, 이산화규소와 같은 금속산화물까지 다양한 재료의 나노구조체 전사가 가능해졌다.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왼쪽부터), 정준호 기계연 박사, KAIST 기계공학과 하지환 박사과정.
KAIST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왼쪽부터), 정준호 기계연 박사, KAIST 기계공학과 하지환 박사과정.

연구를 지도한 박인규 KAIST 교수는 "개발된 차세대 전기방사 섬유상 나노구조체의 전사 공정은 본질적인 문제인 섬유 상 나노구조체의 적용 한계, 낮은 범용성, 대량 생산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을 포함한 다양한 웨어러블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저명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온라인에 지난 4월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이영섭

|

편집국장 : 채원배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