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위험노출액 200조 육박…건전성 강화해야"

삼정KPMG ‘부동산PF 관련 주요 이슈와 향후 전망’ 보고서 발간

삼정KPMG 제공
삼정KPMG 제공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험 노출액이 200조 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금융권, 건설사 등 이해관계자별 건전성 강화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삼정KPMG가 30일 발간한 '부동산PF 관련 주요 이슈와 향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부동산PF 대출 잔액은 2020년 92조 5000억 원에서 지난해 135조 6000억 원으로 46.6% 증가했다. 시행사와 증권사 등의 신용공여 규모를 합치면 시장 참여자의 부동산PF 익스포져(위험노출액)는 200조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동산PF 문제의 주요 원인은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부동산 경기 위축이다. 특히 지방 중심 부동산 경기 회복 가능성은 제한적이다. 2022년 4분기 29.5%까지 급락한 지방 초기 분양률은 지난해 4분기 70%로 여전히 수요가 부진하다.

이에 시행사, 건설사, 제2금융권, 신탁사 등으로 도미노식 위험 전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금융권 연체율은 2.7%다. 증권업(13.73%), 저축은행(6.94%), 여전(4.65%), 상호(3.12%), 보험(1.02%)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 미분양으로 인해 저축은행 및 증권사의 경우 선순위 부동산PF 대출의 원금회수도 불확실하다.

더욱이 미분양이나 사업장 부실이 발생하면서 건설사와 증권사, 신탁사의 우발채무 현실화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시공사와 증권사의 신용보강 규모는 지난해 3월 기준 각각 17조1000억 원, 16조9000억 원에 달한다. 신탁사의 경우 책임준공형 관리형 토지신탁 관련 부담과 신탁계정대 증가에 따른 이자 비용도 커지고 있다.

KPMG는 국내 부동산PF 시장의 개선을 위한 이해관계자별 장단기 과제를 제시했다. 시행사와 시공사, 신탁사는 △부동산PF 사업장의 수 △사업 형태와 금융구조 △채권자 권리관계 등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사업성 검토와 가치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건설사는 재무구조 개선, 현금확보를 위해 PF 사업장 정리 및 다양한 중장기 사업방향과 연계된 구조조정 방향을 사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저축은행·증권사는 본 PF 전환이 어려운 브릿지론의 경우 예상손실에 대해 충당금 100%를 적립한 후 신속하게 매각하거나, 공사 지연이나 분양률이 낮은 PF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되 단계적으로 충당금을 높여 적립해야 한다.

금융사는 연체율과 부실채권 관리를 위한 건전성 개선에 방점을 두고 PF 채권 외 담보물 매각이나 사업권 매각, 재구조화를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사업성 평가를 위한 전문 역량을 제고하는 동시에 내부통제도 강화해야 한다.

김정환 삼정KPMG 기업부동산자문본부 파트너는 "부동산PF 익스포져가 높은 금융사 및 건설사 등은 실사를 통해 사업성을 평가하고 보수적인 상황을 가정해 PF 회수 가능성을 산정하는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유동성 관리 및 충당금 적립, 사업재편을 고려해 불황과 호황이 이어지는 부동산 시장에서 지속적인 사업 기회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seunghee@news1.kr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이영섭

|

편집국장 : 채원배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