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고승아 기자 = 배우 황정민, 정우성이 12.12 군사반란의 긴박했던 순간을 스크린으로 고스란히 옮겨 담았다.
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서울의 봄' 언론배급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열려 황정민, 정우성, 이성민, 김성균, 김성수 감독이 참석했다.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영화다. '아수라' '태양은 없다' '비트' 등을 연출한 김성수 감독의 신작이다.
김 감독은 '서울의 봄'을 만든 이유에 대해 "제가 19살, 고3 때 저희 집이 한남동이어서 육군참모총장이 납치될 때 총성을 들었다, 바로 앞에서 가서 듣기도 했는데, 그러고 나서 그 일이 정말 알 수가 없었다"라며 "오랫동안 꽁꽁 숨겨져 있던 얘기였고 나중에 그 사실을 10여 년이 지나서 알게 됐을 때 당혹스러웠다, 그날 우리나라 군부가 이렇게 쉽게 무너져 내렸더라, 불과 하룻밤 사이에"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놀라움과 의구심이 지금까지 제가 총소리를 들었던 44년이 지났는데 그게 마음속에 의구심이자 대체 그날 무슨 일이 있었길래 그날의 사건이 한국현대사에 운명적인 전환점이 되었나, 이게 제게 일종의 화두였던 것 같다"라며 "오래된 숙제를 제가 이 영화로 갈음해서 보여드린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정민은 군내 사조직의 리더이자 신군부의 주축인 보안사령관 전두광으로 분했다. 그는 "시나리오 안에 정답이 나와 있어서 그 안에서 전두광을 만들어냈다"라며 "그게 지금 본 결과물 같다"고 밝혔다.
전두광에 대해선 "제가 악역이란 역할, '수리남' 전목사도 있고 '아수라'도 있고 수많은 악역을 했는데 이번에는 전두광을 하게 됐다"라며 "근데 제 나름대로는 다 다르게 연기했고, 다른 색깔을 가진 인물이라 생각하고 연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화장실 신은 큰 난관이었는데, 애매모호한 지문이 있었고, 감독은 배우의 연기를 보고 판단하겠다는 게 있었던 것 같다"라며 "그 신에서 보여주는 게 전두광이라는 인물의 탐욕 끝이지 않을까. 교활과 이런 모든 수많은 감정이 응축된 탐욕이 그 인물의 웃음으로 보이지 않았나 생각하고 연기를 했다"고 설명했다.
정우성은 전두광에 맞서는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을 맡았다. 그는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는 건 부정할 수 없다"라며 "영화는 영화 나름대로 재해석이 있으니까 실제에 대한 부담감을 털어내고 모티브가 되는 인물이 배치가 되어 있다, 그래서 이태신은 오히려 그 당시에 수도경비사령관을 맡고 계셨던 분의 이야기를 더 배척하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감독님 역시도 이태신이라는 인물이 실제 사건에서 먼, 가공된 인물이 아닐까 말씀해줘서 이태신은 어떤 인물이 되어야 할까 찾아가면서 했던 작업의 연속이었다"고 부연했다.
이성민은 전두광의 움직임을 감지한 참모총장이자 계엄사령관 정상호 역을 맡았다. 이에 대해 "이미 역사적으로 다 알고 있는 사실을 연기한다는 것이 관객들에게 어떤 긴장감을 줄까 하면서 초반부, 황정민씨가 맡은 역할과 함께 긴장감을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그걸 해보려고 애를 썼다"며 "정민이에게 쫄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연기했다"고 했다.
헌병감 김준엽으로 분한 김성균은 "제가 맡은 캐릭터는 자기 신념을 가진 사람이고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길을 똑바로 가는 사람"이라며 "이태신 장군이 고군분투하고 싸우는데 같은 결로 가는 그런 인물이라고 생각하고 거기에 집중을 했다"고 밝혔다. 이어 "헌병감도 사실 굉장한 직책이다, 제가 사병 땐 눈도 못 맞출 정도로 높은 직급인데, 벙커에 모인 분들이 다 군 내에선 어마어마한 분이라 제가 거기서 할 수 있는 권한이 없더라, 그래서 캐릭터로서 생각하니까 촬영하면서 너무 답답했다"고 털어놨다.
특히 김 감독은 12.12 군사반란을 다룬 시나리오를 만난 것에 대해 "군사반란을 일으킨 신군부 세력, 전두광과 그 패거리와 끝까지 맞선 군인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범죄, 내란죄와 반란죄가 입증이 됐는데, 만약 아무도 맞서지 않았다면 역사에 그냥 승리자로 기록됐을 것"이라며 "그래서 진짜 군인들, 훌륭한 군인들의 시선으로 보면 관객들이 반란군의 승리의 역사가 아닌, 이들이 얼마나 잘못했는지 알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며 이에 영화화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래서 결과는 다 알고 있지만 영화 속에서 엎치락뒤치락하던 상황을 구성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고, 처음에는 역사적 사실을 샅샅이 다 찾아봤는데 각색 작업을 하면서 실제는 밀어 두고, 재밌는 이야기를 만들어보자 했다"라며 "다만 당시 우리나라를 책임지던 군인들이 순간순간 어떤 걸 바라보고 판단을 하는지, 그리고 신념을 지키는지, 개인을 위해 탐욕을 묵인하고 따라가는 걸 자연스럽게 보면서 그들이 내린 결정과 판단으로 인해서 결과적으로 우리 역사가 큰 전환점을 맞이했는지"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법원 재판에서 신군부 세력은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며 입을 다물었는데, 그래서 제가 말하지 않은 부분은 멋대로 만들었고, 오늘이 그 결과물이다"라며 "제 해석에 입각한 것이고 그걸 배우들이 해석해서 각자의 방식으로 훌륭하게 표현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 감독은 또한 "이 영화의 마지막에 전두광이라는 인물에 대해, 황정민과 라스트신에 대해 많이 얘기했는데 전두광 역시 인간이고 저와 같은 사람이란 생각을 했다"라며 "실존인물이 당시 어떻게 했는지 말하지 않아서 전혀 알 수 없지만 저와 같은 인간이라 자기가 승리하는 순간에, 이 승리가 어쩌면 진정한 승리가 아니라 나쁜 부메랑이 되어서 올 거라 순간적으로 생각했을 것이다, 그만큼 양심적인 인물은 아니지만 제 영화 속에서는 그만큼은 생각을 가지길 바랐다"고 말했다.
이어 "불과 얼마 전까지도 승리의 역사라고 축하연을 하는 게 보기 싫었는데, 이 영화 속에서라도 그들의 승리는 아주 잠깐 누릴 수밖에 없는 승리이고, 결국 역사에서 패배자라 생각하길 바랐다"고 남다른 의미를 되새겼다.
'서울의 봄'은 오는 22일 개봉한다.
seung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