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 인지하고 사회적 관계 형성하는 신경 세포 찾았다

기초과학연구원 이도윤 연구팀

해마 CA1 영역 억제 시 개체 구별 능력 상실(IBS 제공)
해마 CA1 영역 억제 시 개체 구별 능력 상실(IBS 제공)

(대전ㆍ충남=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상대를 인지하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신경 세포를 찾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도윤 연구위원 연구팀은 상대방이 누구인지를 인식할 때 활성화되는 개체 인지 신경 세포와 인식된 개체와 관련된 가치 정보를 처리하는 신경 세포가 해마의 CA1 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팀은 생쥐 행동 실험과 뇌신경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생쥐가 짧은 시간 서로의 냄새를 맡는 것만으로 개체를 구별할 수 있고, 이는 해마 CA1 상단부 영역이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 개별 개체와 연관된 가치 정보를 처리하는 신경 세포도 해마 CA1 영역에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기존 연구는 단순히 처음 보는 쥐와 친숙한 쥐를 구분하는 행동 실험에 그쳐 실제 개체 고유의 특성을 인지하는 것인지 명확하게 해석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번 실험에 이용된 생쥐는 수컷 형제 쥐로 성별, 연령 및 유전적 구성이 같고, 실험 대상 생쥐와 동일하게 친숙했다.

이는 오로지 개체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생쥐를 구별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실험 결과의 높은 신뢰도를 시사한다.

기초과학연구원  이도윤 연구위원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 이도윤 연구위원 (IBS 제공)

이도윤 연구위원(교신저자)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얻은 개인에 대한 가치 정보가 우리 뇌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저장되는지 최초로 밝혔다"며 "우리 뇌가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타인에 대한 기억 및 연관된 정보를 처리하는 뇌 기능에 이상을 보이는 자폐와 같은 정신 질환을 이해하고, 치료 방법을 제안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 학술지인‘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온라인 판에 지난 5월5일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이영섭

|

편집국장 : 채원배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