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장성희 기자 = 국립대인 서울대를 제외한 서울 주요 사립대가 10년 넘게 이어 온 등록금 동결 기조를 깨고 올해 학부 등록금을 인상 상한선인 5.49%에 근접한 5% 내외로 올리기로 했다. 전국적으로 대학가의 등록금 행렬이 이어진 만큼, 이번 인상 기회를 살려 재정을 확보해야 한다는 절박감으로 풀이된다.
1일 대학가와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사총협)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2025학년도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확정한 대학은 수도권·비수도권 사립대 국공립대 약 50곳이다.
최근 몇 년간 등록금을 올린 대학이 비수도권에 위치했다면, 올해는 서울의 주요 대학에서도 17년 만에 등록금 인상이 이어졌다. 지난달 31일 기준 등록금 인상 대학은 △경희대 5.10% △고려대 5.0% △국민대 4.97% △동국대 4.98% △서강대 4.85% △서울시립대 5.49% △성균관대 4.90% △연세대 4.98% △이화여대 3.10% △중앙대 4.95% △한국외대 5.0% △한양대 4.90% 등이다. 그간 등록금 인상이 미뤄지던 고려대도 전날 인상을 결정지었다.
등록금을 올린 서울 소재 대학 17곳이 4.0%대 후반에서 5% 초반으로 학부 등록금을 인상했다. 학생 1인당 적게는 15만 원, 많게는 40만 원가량 재정이 더 걷히는 셈이다. 3%대 인상률을 보인 곳은 이화여대와 추계예대(3.0%)뿐이다. 등록금 인상에 우려를 나타낸 학생 측 의견보다 등록금심의위원회(등심위)에서 5% 이상 인상을 염두에 둔 대학 측의 입장이 크게 반영됐다.
그간 재정난에 허덕이던 대학이 이번 등록금 인상 행렬에 편승해 최대한 숨통을 트려 했기 때문이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그간 등록금을 올리지 못해 학교 측에선 상한선에 맞춰 등록금을 올리려 했으나, 학생들과 협의를 통해 마지노선이 5% 전후로 형성됐다"며 "학생들도 학교 인프라 투자에 대한 필요성을 알고 있어 각 대학이 비슷한 수치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등록금을 인상할 경우 우려되던 교육부의 '페널티'가 실체가 없어 과감한 등록금 인상 행보에 나설 수 있었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간 각 대학은 교육부가 내릴 페널티를 우려해 등록금을 동결해 왔다. 그런 와중 최근 비수도권에 위치한 한 대학이 등록금을 올리고, 올해도 등록금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 대학은 페널티를 받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지난해 교육부가 행·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글로컬 대학에 최종 선정됐다.
일부 대학은 이를 등록금을 인상해도 별도의 페널티가 없다는 시그널로 인식하고 있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교육부가 일부러 시그널을 주지는 않았을 것"이라면서도 "결과적으로 (페널티가 없다는 시그널이) 됐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학가의 등록금 인상 도미노는 2월로 접어들면서 마무리 수순으로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일부 대학에서는 3일부터 수강 신청이 시작되고 졸업식 등 주요 학내 일정이 줄줄이 예정됐기 때문이다.
grow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