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의 국민은 국무회의인가. 국무회의 사과는 사과로 받아들일 수 없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이 29일 박 대통령의 조문 태도에 항의, 합동분향소에 세워진 박대통령 조화를 밖으로 치우는가 하면 국무회의를 통한 사과방식에 대해서도 "진정한 사과가 아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유가족 대책위는 이날 오후 6시30분 경기 안산시 와스타디움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5,000만 국민이 있는데 박 대통령의 국민은 국무위원뿐인가. (국무회의를 통한) 비공개 사과는 사과도 아니다"고 비판했다.
대책위는 이어 "(대통령은) 오늘 분향소에 마치 CF를 찍으러 온 것 같았다. 경호원에 둘러싸여 분향소 한 번 둘러보고 어떤 할머니 한분에게 애도의 뜻을 전하는 시늉만 한 채 떠난 것은 지도자로서의 모습이 아니다"면서 "진심으로 우러나 눈물을 흘리면서 사과를 해야 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천과 실행이 없는 사과는 사과가 아니다”며 “우리보다 진도에 남아 있는 분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져 달라”는 주문도 이어졌다.
앞서 안산 화랑유원지에 마련된 세월호 침몰사고 희생자들의 정부 합동분향소의 박 대통령 조화가 분향소 밖으로 치워지는 소동이 발생했다.
앞서 오전 9시께 분향소를 찾은 유족들은 “정부의 초동대처와 후속조치가 미흡해 희생자를 더 키웠다”며 박 대통령과 정홍원 총리 등 주요 인사들이 보낸 조화를 치우라고 소리쳤고, 합동분향소측은 박 대통령과 이명박 전 대통령 조화를 포함해 정부부처 인사들의 조화를 모두 분향소 밖으로 내보냈다.
한편 박 대통령의 국무회의 사과 방식에 대해 시민들도 비판을 쏟아냈다. 통역사 김모(27)씨는 사과하라는 여론이 거세니 뒤늦게 보여주기용으로 한 것 같다. 진심이 담겼다고 느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위터에도 "책상에 앉아 누군가가 써준 글이나 읽는 대통령의 모습을 원한 것이 아니다. 그건 사과가 아니다. 차라리 아무것도 하지 말라"(@k_mi****), "사과 할 사람들끼리 모여서 서로에게 사과를 한다"(@coolstar****) 등 비판 글이 줄을 이었다.
정치평론가 유창선 박사는 인터넷에 올린 글에서 "정부가 미흡했던 점을 인정하면서도 정작 대통령 자신의 책임이 무엇인지는 언급이 없다"며 "과거, 잘못된 관행 탓을 많이 했는데 세월호 참사는 박근혜 정부의 무능에 커다란 책임이 있는 참사"라고 지적했다.
고2 학생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청와대 게시판에 남긴 글에서 박 대통령에게 "분명 당신은 존경 받아야 마땅할 지위에 올라가 있고 또 그런 나이의 사람이나 저는 당신을 눈곱만큼도 존경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제발 상황 무마하기 식의 대응이 아닌 진심이 담긴 대응을 해달라"며 "이번 사건을 통해 무책임한 정부를 두 눈으로 보았고 그런 무능한 정부를 향한 제 또래 아이들의 시선을 온 몸으로 느끼고 있다"고 썼다.
@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