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산=뉴스1) 성도현 기자 = 세월호 침몰사고 대책 마련을 위해 관련기관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는 가운데 합동분향소 설치 문제를 두고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서로 마찰을 빚으면서 유가족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 안산시 등으로 구성된 합동대책본부는 공식분향소를 확대 설치하는 방안을 두고 기관별로 서로 다른 입장을 보였다.
도교육청은 지난 22일 안산올림픽기념관 실내체육관에 마련돼 있는 임시분향소에 추모객이 급증해 수용이 힘들면 화랑유원지로 공식분향소를 옮겨 설치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했다.
도교육청은 화랑유원지 합동분향소 설치는 안산시와 가족들간 합의로 확정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황정은 경기도 세월호 합동대책본부 대변인은 "분향소는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 상황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서로 협의과정을 거쳤지만 확정된 바는 없다"고 반박했다.
경기도는 1억5000만원을 들여 임시분향소를 만들었는데 또 예산을 투입해 추가로 분향소를 만드는데 대해 어려움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범정부 사고수습대책본부가 유족들의 동의를 얻어 화랑유원지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하는 것으로 결정했고 논란은 마무리됐다.
이로 인해 현재 안산올림픽기념관에 마련된 임시분향소는 28일까지만 운영되고 29일부터는 화랑유원지에 공식합동분향소가 설치돼 조문객을 맞을 예정이다.
하지만 대책본부는 임시분향소에 남고자 하는 유족들의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유족들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해 두 분향소를 함께 운영하기로 했다.
경기도 등은 사고 발생 나흘 후인 지난 19일 합동대책본부를 꾸리고 공무원들을 파견해 합동근무 중이다. 현재는 안산올림픽기념관에 합동대책본부가 마련돼 있다.
그러나 각 기관들은 합동대책본부 설치 후에도 각 기관별로 운영하던 상황실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합동대책본부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경기도 합동대책본부장인 김문수 경기도지사의 총괄아래 분향소 운영이 이뤄지고 있지만 실제로 재난메뉴얼에 따른 지휘체계는 일사불란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매일 오후2시에 김 지사 주재로 이뤄지는 대책회의에 도교육청과 안산시 관계자들은 참석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안산시 관계자는 "회의에 참석을 안하는 게 아니라 과장급이 참여해 상황을 수시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하는 등 서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되지 않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맡은 업무가 다른 부분이 있어 잘 모르는 부분이 있다"며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합동대책본부가 제대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은 경기도와 도교육청의 사이가 좋지 않고 지자체장의 당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3일에는 범정부사고대책본부 대책회의에 참석했던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김철민 안산시장이 세월호 합동분향소 설치과정에서의 불협화음에 대해 본부장(해수부장관) 명의로 경기도에 엄중경고할 것을 요구해 논란이 일었다.
이를 두고 새정치민주연합 시장과 새누리당 도지사간 힘겨루기가 아니냐는 일부의 시각도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해 한 유족은 "차가운 바다에서 죽은 내 아들·딸에 대해 제대로 생각해본 적은 있는지 모르겠다"며 "사고대책이라고 내놓는 것마다 서로 말이 안 맞아 가족들 입장에서는 답답할 뿐"이라고 합동대책본부를 비판했다.
dhspeopl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