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朴대통령의 경제혁신 계획 '왜 3개년인가'

靑 "임기 내 실현"… '레임덕' 전에 목표 달성 의지 관측
일부선 '박정희 경제개발 5개년 계획' 벤치마킹 시각도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 | 2014-01-06 11:43 송고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수립, 추진해나가겠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회견을 열어 "올해 국민들이 성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도록 우리 경제의 혁신과 재도약을 위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세우고 성공적으로 이끌어서 국민행복시대를 열어가겠다"면서 △기초가 튼튼한 경제(비정상의 정상화) △역동적인 혁신경제(창조경제) △내수와 수출의 균형이 있는 경제(내수 활성화)를 그 3대 추진전략으로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먼저 '기초가 튼튼한 경제'와 관련해선 원자력발전소 불량부품 납품비리와 코레일의 방만 경영 논란 등을 예로 들어 "공공기관 정상화와 재정·세제개혁, 원칙이 바로 선 경제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역동적인 혁신경제'와 관련해선 △전국 17개 시·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해 관련 아이디어 발굴과 사업화 등을 지원하고, △민·관(民·官) 합동 '창조경제추진단'을 구성해 민간 기업 등과의 관련 소통을 강화하며, △농업·문화 등 기존산업과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해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창조경제 비타민 프로젝트'를 확대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온실가스 저감 등의 친환경 기술개발과 폐기물 소각장 등 지역의 기피시설에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설치·활용토록 하는 '친환경 에너지타운' 조성 방안도 '역동적인 혁신경제'를 위한 세부 추진 과제에 포함됐다.
아울러 '내수와 수출의 균형이 있는 경제'와 관련해선 중소·중견기업의 성장 촉진을 위한 맞춤형 지원과 보건·의료 등 5대 유망 서비스산업 육성 및 관련 규제개혁 등이 주요 과제로 꼽혔다.

박 대통령은 "앞으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차질 없이 추진되면, 3년 후 우리 경제의 모습은 잠재성장률이 4% 수준으로 높아지고 1인당 국민소득은 3만달러를 넘어 4만달러 시대를 바라보게 될 것이다. 고용률 70%도 달성할 것"이라며 "정부에선 이런 계획들이 목표를 달성해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쏟을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이 같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에 대해 "박 대통령 임기 내에 우리 경제의 혁신과 재도약을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아직 임기가 4년이나 남았지만, 5년 단임제인 현행 대통령제 하에선 임기 말엔 '레임덕(권력누수 현상)'이 올 수밖에 없는 정치 현실을 감안할 때, 박 대통령이 실제로 일할 수 있는 남은 시간을 올해부터 2017년이 아닌 2016년까지로 본 것으로 풀이된다.

임기 5년차는 그동안의 국정운영에 대한 '평가'의 시간으로 삼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청와대는 앞서 "지금 '창조경제'가 실패했다고 하는 사람들도 반드시 후회하는 날이 올 것이다. 그동안 노력해온 부분들이 탄력을 받아 뿌리를 내리고 성과를 내기 시작한다면 국민도 많이 성원해줄 테고, 그땐 우리도 당당히 '이렇게 했다'고 말할 수 있는 날이 올 것"(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비서관)이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5개년 계획이라고 하면 대통령 임기를 넘어가고, 4개년은 4의 어감이 좋지 않아서 3개년 계획으로 하게 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 안팎에선 "박 대통령의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선친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벤치마킹한 게 아니냐"는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전에도 '제2 한강의 기적', '제2의 새마을운동 정신'을 강조하는가 하면, 박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열린 수출진흥회의에 뿌리를 둔 무역투자진흥회의를 분기마다 열어오는 등 국정운영의 곳곳에서 선친의 모습을 연상시키는 행보를 보여 왔다는 이유에서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박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1962년부터 전두환 전 대통령이 재임 중이던 86년까지 5차에 걸쳐 5년 단위로 추진된 정부 주도의 거시경제 정책을 말한다. 이후 87년부턴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으로 명칭이 바뀌어 96년까지 두 차례 더 진행됐다.

그러나 청와대 측은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추진 전략 가운데 공기업 개혁 등 비정상적 관행의 정상화 부분은 정부의 의지가 중요한 것이지만, 창조경제와 내수 활성화의 경우 정부는 관련 정보 제공과 규제 완화 등의 여건만 마련해주고, 실질적인 성과는 민간이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철저하게 관 주도로 이뤄졌던 과거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는 다르다"는 입장이다.

"우리 경제의 혁신과 재도약이 국정운영의 최우선 과제란 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계획'이란 표현을 쓰긴 했지만, 그 내용엔 분명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열린 '2014 경제계 신년인사회'에 참석, "난 올 한해가 우리 경제의 성장궤도 복귀냐 저성장 흐름 고착화냐를 결정지을 중요 분수령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이날 발표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관련 사항을 설명하고 기업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어렵게 피워낸 경기회복의 불씨를 더 크게 확산시켜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가 한 마음으로 노력해야겠다"고도 말했다.

한편 정부는 내달 초 박 대통령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업무보고를 통해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세부 사항을 확정,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ys4174@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