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산업 >

팬택 출자전환 이번주 분수령…이통3사 고민 '깊어지네'

채권단, 이통사에 1800억 출자전환 7월 4일까지 결정요구

(서울=뉴스1) 맹하경 기자 | 2014-06-30 04:59 송고
(사진제공=팬택)© News1

지난 2월부터 워크아웃 상태인 팬택의 운명이 이번주 이동통신사들의 손에 결정된다. 팬택 채권단은 3000억원의 출자전환을 결정하고 7월 4일까지 이통사들도 이에 동참해야 회생작업을 진행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하지만 이통사들이 좀처럼 결정을 내리지 못하면서 팬택의 운명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30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을 주축으로 한 팬택 채권단은 팬택의 채무 3000억원을 출자 전환하기로 결정하고 이번주 내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도 1800억원 규모의 출자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통3사들은 여전히 결정을 미루고 있는 상태다.

팬택 채권단은 3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출자전환한 뒤 오는 2018년까지 원금 상환을 유예하는 내용의 팬택 경영 정상화 지원방안을 내놨다. 아울러 이자율 인하(담보채권 2%, 무담보채권 1%)와 기존 주식 10대1 무상감자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은 기업회생 절차를 밟기 위해서는 이통3사가 보유한 팬택 매출권 중 1800억원을 출자전환하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이 채권은 그동안 이통사들이 팬택 제품을 판매하면서 지급한 판매장려금 중 현재까지 받지못한 금액이다. 통상 이통사들은 휴대폰을 판매할 때 고객에게 보조금을 먼저 지급하고 이후에 제조업체로부터 보전받지만 팬택은 악화된 재무구조 탓에 지급하지 못했다. 1800억원의 매출채권 중 SK텔레콤이 약 900억원을, KT와 LG유플러스가 약 450억원씩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통사들이 팬택을 놓고 검토 중인 시나리오는 2가지다. 출자전환에 참여해 팬택 채권자에서 주주로 지위가 바뀌는 것과 불참해 팬택이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는 것 등이다.
팬택이 법정관리에 들어가게 되면 이통사는 보유한 매출채권을 회수하기가 힘들어진다. 여기에 업계에서는 현재 이통사들이 재고로 가지고 있는 팬택의 스마트폰이 최대 70만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단말기당 평균출고가인 70만원으로 계산하면 이통사들은 약 5000억원에 이르는 재고 처리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팬택 채권 1800억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더불어 국내 3위 휴대폰 제조업체인 팬택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도록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여론도 부담스럽다. 팬택이 이대로 사라질 경우 국내 휴대폰 제조업체 구도는 삼성전자와 LG전자 2곳으로 나뉘어 고착화될 수 있다. 또 팬택이 지키고 있는 국내 시장 진입 장벽의 마지노선이 무너질 경우, 중국 등 후발주자가 공격적으로 진입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제조업계 한 관계자는 "팬택이 법정관리를 밟아 청산까지 이르게 되면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과점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며 "팬택의 부재로 생긴 틈새를 제조 수준이 높아진 중국 등 후발 제조사들이 비집고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국내 제조사들도 마음놓고 지켜볼 수만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출자전환에 동참해 팬택 주주로 지위가 바뀌는 것도 고민이다. 팬택이 재기에 성공한다는 보장이 확실치 않아 경영이 악화될 경우 팬택으로부터 받지 못하는 금액이 계속 늘어나는 등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또 팬택은 출자전환 이후 매각 수순을 밟을 전망인데다 기존 주식에 대해 10대1 감자가 진행될 예정이어서 원금 회수가 어렵게 된다.

가장 큰 규모의 채권을 보유 중인 SK텔레콤의 한 관계자는 "검토를 계속하고 있지만 여전히 결정된 사안이 없다"며 "전례가 없는 경우이기 때문에 굉장히 힘든 선택이고 여러 방면으로 고민을 계속 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통사 한 관계자는 "채권단이 이통3사 모두의 동참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방향으로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어떠한 선택을 하더라도 리스크가 있어 신중하게 고려해 봐야 하며 900억원의 매출채권을 가지고 있는 SK텔레콤이 어떤 결정을 내릴 지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팬택 한 관계자는 "채권단이 출자전환을 결정한 상태기 때문에 이동통신3사의 결정만 바라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현재로서는 이통3사의 결정을 마냥 기다리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고 밝혔다.


hkmaeng@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