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뉴스1) 진현권 기자 = 이 당선자가 한 학년동안 네번의 짦은 방학을 실시하는 분산학기제를 일선학교에서 자율운영토록 지원하겠다고 공약했기 때문이다.
11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부는 올해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관광주간 참여요청을 받고 학교장의 판단에 의해 재량휴업을 실시토록 일선학교에 권장했지만 활성화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학교에서 기존 학사시스템에 익숙해 새로운 제도도입을 꺼리는데다 맞벌이 부부에 대한 아이돌봄체제도 갖춰져 있지 않는 등 여건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세월호 참사 이후 가라앉은 사회분위기도 분산학기제 확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이달 초 근로자의 날, 어린이날, 석가탄신일 등 황금연휴를 맞아 최대 10일까지 방학이 가능했지만 시행 학교는 2개교에 불과했다.
도교육청은 따라서 분산학기제 확산을 위해선 일정기간 준비기간과 문제점 검토 등을 거쳐 제도도입 취지를 일선학교에 충분히 설명하고 홍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재량휴업 결정권한이 학교운영위원회에 있어 강제시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주5일 수업도 초기에는 소규모 자영업자 등 문제 때문에 정착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분산학기제 확산을 위해선 돌봄문제 등 시스템 구축과 일선학교의 학사시스템 관행 탈피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jhk1020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