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 경제 >

국부 90%가 토지·건물…한국은 '부동산 공화국'

[국민대차대조표] 우리나라 부동산 자산 9457조원(종합)
가계, 순자산 76%가 부동산…기업은 순자산의 1.7배
부동산자산 증가폭 '둔화'…주택대출 '부실뇌관' 우려

(서울=뉴스1) 이현아 기자 | 2014-05-14 07:35 송고 | 2014-05-14 07:36 최종수정
(자료제공=한국은행) © News1

우리나라 국부를 의미하는 국민순자산 중 토지자산과 건설자산이 약 9457조원으로 전체의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의 자산 중 89%가 부동산에서 나온다는 의미다.
우리나라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서 나오는 만큼 부동산 경기침체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질 경우 한국경제의 부실뇌관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국민대차대조표 공동개발 결과(잠정)'에 따르면 2012년말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1경630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1경166조원) 대비로는 464조6000억원 증가한 수준이다.

국민순자산 중 토지자산은 5604조8000억원으로 전체 국부의 52.7%를 차지했다. 또 건설자산은 3852조5000억원으로 국부의 36.2%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국민순자산 중 토지와 건설을 합친 부동산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88.9%에 달한다.

2012년 기준 우리나라 토지자산은 GDP의 4.1배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일본, 프랑스, 호주 등의 GDP대비 토지자산은 2.4~2.8배 였으며, 캐나다와 네덜란드는 각각 1.3배, 1.6배 수준이었다.
◇ 가계, 순자산 76%가 부동산…기업은 순자산의 1.7배

경제주체 중 가장 많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가계(비영리단체 포함)였다. 가계는 3224조8000억원의 토지자산과 1372조9000억원의 건설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는 가계가 보유하고 있는 순자산(6056조7000억원)의 각각 53.2%, 22.7%를 차지한다. 다시말해 가계의 자산 중 약 76%가 부동산이라는 의미다.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가 보유한 주택의 시가총액은 2012년말 기준으로 3094조3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GDP의 2.2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주택의 시가총액은 건물을 의미하는 건설자산과 건물의 면적당 토지자산을 합한 것이다.

가계의 주요 자산인 주택의 시가총액은 국내총생산과 비교할때 2000년말 기준으로 1.6배 수준이었지만 부동산시장 호황기를 거치며 2009년 말에 2.2배로 상승했고 이후 횡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시가총액이 1000조원을 넘은 것은 1999 ~ 2000년 사이로 이후 2006년에 다시 2000조원을 넘어섰다. 1000조원이 상승하는데 1000조 → 2000조원은 6년, 2000조 → 3000조원까지는 다시 6년이 걸린 것이다.

한국의 기업들이 보유한 부동산 자산 역시 2500조원을 웃돌았다. 2012년 기준 비금융법인이 보유한 건설자산(1429조6000억원)과 토지자산(1113조9000억원)은 총 2543조5000억원으로 비금융법인의 순자산(1524조7000억원)의 1.7배에 달했다.

일반정부의 경우 토지자산이 1220조6000억원, 건설자산이 961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정부의 순자산인 2736조원에서 각각 44.6%, 35.1%를 차지해 총 부동산 자산이 79.7%였다.

우리나라 전체 토지자산 중 일반정부가 차지하고 있는 토지자산의 비중은 21.8%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프랑스, 일본 등의 경우 정부가 가지고 있는 토지자산 비중이 10% 또는 그 이하였다.

금융법인이 가지고 있는 부동산 자산은 134조3000억원으로 금융법인의 순자산(313조2000억원)의 42.9%를 차지했다.
(자료제공=한국은행) © News1


◇ 부동산자산 증가폭 '둔화'…주택대출 '부실뇌관' 우려

우리나라 국부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자산인 부동산 자산의 최근 증가폭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형태별로 봤을때 토지자산의 전년대비 증가폭은 203조3000억원(3.8%)으로 지난 2011년(391조8000억원)대비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토지자산의 증가폭을 보면 지난 2009년 323조4000억원, 2010년 346조2000억원, 2011년 391조8000억원으로 오름세를 보이다 2012년 들어 급감했다.

건설자산의 증가폭 역시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2012년말 기준 건설자산은 전년대비 215조8000억원(5.9%) 증가했다. 건설자산 증가폭은 지난 2009년 204조6000억원에서 2010년 276조9000억원까지 늘었다가 2011년 250조8000억원, 2012년 215조8000억원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의 건설투자 부진 및 지가의 상승세 둔화 등에 따라 전년에 비해 증가폭은 축소됐다"며 "건설투자 증감률은 2009년 3.5%이었다가 2010년 마이너스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이어 "외환위기 이후 건설 및 설비자산을 중심으로 고정자본형성과 고정자산스톡의 증가세가 모두 급격히 둔화되는 추세"라며 "자본축적이 선진국 수준에 이른데다 외환위기 및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 부동산시장의 부진 등에 기인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부동산 자산의 증가폭이 둔화 등으로 가계부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담보대출의 부실화 가능성도 제기됐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경우 집을 팔아도 집을 살때 빌련던 빚을 갚지 못하는 '깡통주택' 속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12년말 기준 가계(비영리단체 포함)의 대출금은 1070조2000억원 중 은행에서 빌린 가계대출 잔액은 316조9000억원으로 전체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 및 은행 대출채권 양도분을 제외한 규모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자산이 많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 하락 혹은 상승에 민감하다"며 "1980년대 이전의 경우 부동산 자산이 말그대로 자산이었지만 오늘날에는 대부분이 주택담보대출 등 부채로 인식되기 때문에 부동산가격이 하락하면 부실 가능성이 대두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 연구위원은 "최근 부동산 경기 회복이 부진하기 때문에 가계는 부채 상환부담이 더 커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부동산 가격 변동에 따라 저소득 계층 등의 취약계층이 부실화되지 않도록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yuna@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