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추진 중인 전시컨벤션센터를 박근혜 대통령의 울산1호 공약인 국립산업기술박물관과 통합해서 건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어 주목된다.
올 초부터 예산절감 등을 위해 컨벤션센터와 산업박물관의 통합을 주장해온 울산시민연대는 8일 보도자료를 통해 울산시에 공식적으로 제안했다.
시민연대는 “경기침체로 인한 중앙정부의 대규모 신규사업 억제와 대통령의 지방공약축소 움직임, 지방공기업 재정적자가 심화되는 현 상황에서 MICE(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전시회·박람회) 기능과 B2B(Business-to-Business) 역할이 중복되는 두 개의 거대 건축 사업을 모두 추진하겠다는 것은 여건상 어려움이 있다”며 “때문에 전시컨벤션센터와 산업기술박물관을 통합 추진해 사업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시민연대는 “최근 경기침체로 인해 올해 상반기 국세징수율이 예상치보다 10조원이나 밑돌고, 울산시 지방세 또한 전년 대비 700억원이나 급감하고 있다”며 “이러한 상황으로 안전행정부는 내년 예산안 편성과정에서 투융자심사를 강화하는 등 대규모 예산사업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이러한 기조는 기획재정부의 160여개 지방공약 사업의 대폭 축소 움직임과도 맞닿아 있다”며 “실제로 기재부는 지난달 지역공약 이행계획 발표를 통해 전체 지방공약 사업 가운데 이미 진행 중인 계속사업 70여개를 제외한 나머지 90여개 신규 사업은 엄격한 예비 타당성 조사 등으로 사업 범위를 축소하거나 사업 시행 시점을 조정한다는 방침을 밝혔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런 상황에서 1조원대의 예산이 소요되는 산업박물관과 1400여억 원대의 컨벤션센터라는 대규모 투자 사업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것은 중앙정부의 투자승인을 받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방비를 투입해야 하는 울산시도 버거운 일”이라며 구체적인 논거를 제시했다.
시민연대는 이날 독자적으로 건립될 컨벤션센터에 대한 우려도 제기했다.
시민연대는 “이미 국내 컨벤션센터는 과잉공급 상태고인데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킨텍스와 벡스코 등 지방자치단체가 출자한 6곳의 컨벤션센터가 단 한 번도 영업이익을 내 본적이 없었다”며 “지난 5년간 기록한 영업손실도 1486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울산컨벤션센터의 사업추진을 맡고 있는 울산시도시공사의 경우 부채비율이 300%를 넘고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 충당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험상 적자운영이 확실시되는 컨벤션센터가 단독 건립되면 지방 공기업 부실운영으로 인해 지방재정에 더욱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민연대는 “하지만 만약 컨벤션센터와 산업박물관이 결합해 건립되면 전시와 회의, 교류, 문화가 결합한 시너지 효과는 물론 예산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울산시가 2018년 완공을 목표로 KTX 울산역 인근 울주군 삼남면 교동리 일원에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건립 추진 중인 전시컨벤션센터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뜨겁다.
울산시의회 내에서도 컨벤션센터 건립에 대해 계속 문제제기가 이뤄졌다.
실제로 김진영 의원의 경우 지난 3월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울산시의 국비확보 및 흑자운영 계획에 대해 타 지자체 운영사례를 들어 실현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8일 뉴스1과의 전화통화에서도 “컨벤션 센터가 독자적으로 건립될 경우 적자운영은 불을 보듯 뻔해 자칫 지방재정이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며 “건립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아직 산업박물관 울산유치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이러한 논의는 시기상조라는 주장도 있었다.
익명을 요구한 여권 한 시의원은 “아직 산업박물관 울산유치도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통합 건립추진 논의는 시기상조”라며 “지금은 산업박물관 울산유치를 위해 힘을 합쳐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lucas021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