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서 尹추문 커질 때 서울 청와대는 뭐했나

尹 귀국 후 허태열 실장에게 최초 보고...소통부재 지적
"누군가 책임지고 사태수습 했어야"

본문 이미지 -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 수행 중 성추행 의혹으로 전격 경질된 윤창중 청와대 전 대변인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윤 전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방미 기간 중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비서로 파견한 인턴 여직원 A(21)씨를 성추행한 의혹을 받고 있다. 2013.5.11/뉴스1 © News1 손형주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 수행 중 성추행 의혹으로 전격 경질된 윤창중 청와대 전 대변인이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부암동 AW컨벤션센터에서 해명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윤 전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방미 기간 중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비서로 파견한 인턴 여직원 A(21)씨를 성추행한 의혹을 받고 있다. 2013.5.11/뉴스1 © News1 손형주 기자

윤창중 사태의 파장이 확산되면서 청와대가 코너에 몰리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기간 중 불거진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은 시간이 흐를수록 각종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확대 재생산되는 분위기다.

청와대의 설명대로 이번 사건의 본질은 박 대통령의 해외순방 중 측근인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이지만 그 여파는 청와대 참모진의 무능과 불신으로 번지고 있는 양상이다.

청와대의 무능과 불신에 따른 미흡한 대응이 사태를 이 지경으로 악화시켰다는 것이다.

윤 전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의 사실 관계는 경찰 조사에서 드러나겠지만 사건 발생 후 청와대의 대응은 아마추어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우선 미국 현지 수행단과 청와대와의 소통부재가 이번 사태를 키웠다고 볼 수 있다.

윤 전 대변인으로부터 성추행을 당한 피해 인턴 여성이 미국 경찰에 신고한 시간은 8일 오전 7~8시(현지시간) 사이다. 이 무렵에 방미수행단에도 이 같은 사실이 통보됐다.

당시 청와대를 지키던 허태열 비서실장이 이남기 홍보수석으로부터 현지 상황을 보고받은 시점은 그로부터 7시간이 훨씬 지난 이후로 알려지고 있다.

이 수석은 이날 오후 워싱턴 일정을 마치고 다음 기착지인 로스앤젤레스로 가는 전용기에서 허 실장에게 상황보고를 했던 것.

하지만 이 때는 윤 전 대변인이 이미 덜레스 공항에서 인천공항행에 탑승해 한국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이었다.

윤 전 대변인의 중도 귀국은 청와대의 조직적인 사건 축소 은폐 의혹을 불러 일으키면서 이번 사태의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보고 시점만 놓고 보면 윤 전 대변인의 귀국이라는 중요한 사항을 미국 현지에 있던 이 수석과 일부 행정관들이 결정한 후 허태열 비서실장에게는 통보만 했다는 얘기가 된다.

본문 이미지 - 허태열 대통령비서실장이 1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박근혜 대통령 방미기간 중 일어난 윤창중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사건과 관련해 대국민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2013.5.12/뉴스1 © News1 박철중 기자
허태열 대통령비서실장이 12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박근혜 대통령 방미기간 중 일어난 윤창중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사건과 관련해 대국민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 2013.5.12/뉴스1 © News1 박철중 기자

윤 전 대변인은 귀국 후 11일 기자회견에서 "해명을 해도 이 자리에서 하겠다고 말씀드렸더니 잠시 후 이 수석이 저에게 오후 1시 30분 비행기를 예약했으니 짐을 꾸려서 나가라고 했다"며 이 수석이 귀국을 지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수석은 이에 대해 "그런 얘기를 한 적이 없다"며 "귀국은 윤 전 대변인 본인이 결정한 것"이라고 반박했으나 결과적으로 이번 사태의 책임은 이 수석에게 전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공식 방미 일정이 종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윤 전 대변인의 중도 귀국을 수석비서관이 결정할 사안인지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이남기 수석 보다 윗선의 지시가 있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윤 전 대변인의 중도 귀국을 누가 지시했는지는 그러나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대통령 순방 중 위기 대응 능력이 드러내는 대목이다.

특히 청와대는 윤창중 사태 발생 이후 약 이틀간의 시간적 여유가 있었음에도 수습 방안을 내놓지 못했다.

민정수석실이 귀국한 윤 전 대변인을 불러다 조사한 것이 전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이남기 수석은 한국에 도착한 10일 밤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과 대통령께 진심으로 사과를 드린다"는 내용의 4줄짜리 사과문을 발표했다가 '대통령의 눈치만 살핀다'는 여론의 질타를 받아야 했다.

그 다음날 윤 전 대변인이 기자회견을 열어 성추행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이번 사태를 '중도 귀국'에 대한 진실공방으로 몰아가는데도 속수무책이었다.

이런 가운데 곽상도 민정수석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남기 수석의 귀국 종용 여부에 대해 "귀국을 지시했다는 것은 (사실 여부를 떠나) 우리나라 법으로 기본적으로 아무런 범죄가 안되며 미국 법에 의해서도 그 자체로 문제가 될 여지가 없다"고 말해 야당으로부터 "사건의 근본적인 해결보다 파장 축소에만 급급해 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여당인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청와대 참모 중 누군가 책임을 지고 사태를 수습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하는데 다들 몸을 사리면서 문제가 더 복잡해진 것 같다"고 꼬집었다.

상황을 틀어쥐고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시스템과 인물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여권내에서 나오는 것이다.

청와대는 12일 허태열 비서실장의 사과 발표에 이어 13일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나서 대국민 사과를 했지만 애당초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진 윤창중 사태는 좀처럼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nyhur@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