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 식물의 개화시기 조절 기작 규명

개화시기 앞당겨 식량난 해결 가능성도 열려

<figure class="image mb-30 m-auto text-center border-radius-10">

남홍길 IBS 식물 노화수명연구단장, 김유미 박사. © News1

</figure>식물의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31일 기초과학연구원(IBS)에 따르면 ‘식물 노화·수명 연구단’(단장 남홍길)은 세포 핵 내의 단백질 집합과 해산이 개화시기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김유미 박사 주도로 진행됐다.

이로써 개화시기 조절을 통해 수확을 앞당길 수 있는 길이 열려 지구촌 식량난 해결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식물의 개화는 일반적으로 계절 변화 등의 외부 환경과 식물이 가진 유전적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된다.

그 중 계절의 변화, 즉 낮 길이의 변화는 식물 생체 시계에 의해서 인지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자이겐티아라는 단백질이 식물 생체 시계의 활성을 조절해 개화를 촉진한다는 연구결과는 남 단장 연구진이 1999년 사이언스(Science)지에 발표한 바 있다.

연구진은 장일 식물인 애기장대에서 개화 유도 단백질인 자이겐티아가 핵 내에 골고루 퍼져 있거나, 단백질체인 핵체에 모여 있는 두 가지 형태의 핵 내 분포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즉 낮에는 골고루 퍼져있는 형태로, 밤에는 핵체에 모여 있는 형태로 주로 관찰된 것.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낮이 긴 봄에는 개화가 일찍 이루어지지만, 밤이 길어지는 가을에는 개화가 늦어지는 장일 식물의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설명이다.

남 단장은 “이번 연구는 개화 조절 단백질의 핵 내 위치 조절이 식물이 가지는 기존의 개화 조절 기작들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임을 밝힌 것”이라며 “이는 식물 발달 및 생애주기 연구를 통한 식량문제 해결을 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는 연구”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인 셀 리포트(Cell Reports) 3월 21일자로 게재됐다.

▲장일 식물(長日, long-day plant)개화를 하기 위해서 낮의 길이가 밤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져야 하는 식물을 일컫는 말. 반대로 장일 식물에 비해 밤의 길이가 길어야 되는 식물을 단일 식물이라 한다.

▲애기장대고등 식물 중에 최초로 게놈 염기 서열 분석이 완료된 식물로 발아해서 다음 씨가 맺힐 때까지의 1세대 기간이 약 8주로 짧고, 화학물질을 쓰면 다양한 형태의 돌연변이체를 간단히 만들 수 있어 식물 연구를 위한 모델 식물로 많이 활용된다.

▲핵체(nuclear body)핵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 덩어리. 수백 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지니며 세포 내에 존재하는 다른 소기관들과는 다르게 막으로 둘러 싸여져 있지 않은 상태로 핵 내 특정 구역에 밀집되어 있다.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이영섭

|

편집국장 : 채원배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