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결국 '동·서' 분단 수순?…동부 지역, 자치 선언
자치정부 명칭 '바르카' 또는 '키레나이카'
- 이준규 기자
(서울=뉴스1) 이준규 기자 = <figure class="image mb-30 m-auto text-center border-radius-10">
© AFP=News1
</figure>리비아 동부지역의 지도자들이 3일 일방적으로 자치를 선언했다.
철권통치자 무하마르 카다피 축출이후 유전 자원이 풍부한 동부지역을 아우르기 위해 힘써온 과도정부로서는 상징적 치명타가 될 전망이다. 서부 트리폴리를 중심으로 한 과도정부는 지난 여름부터 유전지대와 항만 정유시설등을 장악한 동부지역의 군벌및 부족들과 배분을 놓고 그동안 협상을 벌여 왔다.
관계자에 따르면 동부지역 지도자들은 이날 원유 수출항인 브레가 인근 아자비야에서 만나 자치정부 수립을 결정했다.
자치정부의 이름은 동부 지역을 일컫는 현지어인 '바르카(Barqa)' 또는 키레나이카((Cyrenaica)로 결정됐다.
현지 방송에는 20여명의 장관이 키레나이카 국기로 장식된 단상에서 선서하는 장면이 중계됐다.
자치정부 총리도 임명됐다. 초대 총리에는 공군 참모총장 출신인 압드 라보 알 바라시가 지명됐다.
이날 자치 발표가 당장 실질적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자치를 반대했던 정부와 동부 간의 갈등은 점차 심화될 것은 자명하다.
지난 2011년 서방국들이 개입한 내전으로 카다피가 사망한후 리비아는 통합과정에 혼란을 겪어왔다. 트리폴리 과도정부의 통치력은 카다피 축출에 기여한 부족, 무장세력에 제대로 미치지 못하며 사실상 무정부 상태를 보여왔다.
특히 유전자원이 풍부한 동부 '키레나이카' 지방의 무장세력과 부족들은 그간 권력을 나눠 갖자며 중앙정부를 압박해왔다.
알리 제이단 과도정부 총리는 지난 수일 간 리비아 원유 생산의 60%를 수출하는 동부 지역 항구의 운영 재개를 위해 동부지역 지도자들과 접촉을 가졌었다.
항구와 원전 노동자들의 파업이 있기 전까지 일평균 140만배럴에 달하던 리비아의 원유 수출량은 한때 10만배럴 이하까지 떨어지기도 했었다.
제이단 총리는 지난 주 3일이나 4일 경 하리가항(港)을 다시 가동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관계자에 따르면 협상은 진척없이 계속 진행 중이었다.
키레나이카 반군단체의 수장인 이브라임 알 자트란을 비롯한 동부지역의 지도자들은 의회 부패와 카다피 사후 치안불안을 이유로 제이단 총리를 맹비난해왔다.
동부 지역의 최대 도시인 벵가지의 치안을 위협하는 각종 폭력 사건들이 발생했던 것도 자치 선언을 부추겼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지난 2일에도 군인 한 명이 지뢰에 의해 사망했으며 정보 장교 한 명도 2살인 딸과 함께 운전을 하던 중 폭탄에 의해 사망했다. 3일에는 벵가지의 가장 큰 교도소에서 폭동이 발생해 15명의 재소자가 다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이슬람급진세력이 벵가지주재 미국 총영사관을 습격해 스티븐슨 미국대사 등이 숨지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나기도 했다.
동부의 자치 선언으로 당장 리비아의 국가형태에 변화가 예상되지는 않는다. 현 상황에서는 권력 배분을 위한 느슨한 형태의 연방구성이 가능하다.
하지만 카다피라는 '안정판'이 제거된후 우려되던 동·서 분단의 수순이 될 가능성도 향후 없지 않다. 많은 전문가들은 리비아의 분단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아왔다.
전통적으로 리비아는 트리폴리와 벵가지를 중심으로 부족간 서로 반목해온 역사를 갖고 있다. 트리폴리를 중심으로한 카다피 정권을 향해 첫 모반의 시위를 당긴 곳도 벵가지이다. 국가의 부인 유전 자원을 둘러싼 서로의 이익 분배이 마뜩치 않을 시 자치를 넘어 또 한번 내전에 휘말릴 가능성도 없지 않다.
findlov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