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 기준금리 결정은 '동결'…7월 인하, 연말 3% 터치"
[금통위 폴] 11일 금통위…전문가 10인 전원 '동결' 예상
3분기 인하 예상 90% 달해…"2분기 인하 시그널 나올 듯"
- 김혜지 기자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올해 첫 기준금리 결정은 '동결'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
금리 인하 시점은 대다수가 반년 뒤인 7월을 지목했다. 연말 기준금리 수준의 경우, 지금보다 0.50~0.75%포인트(p) 낮은 연 2.75~3.00%를 예상하는 빈도가 높았다.
7일 <뉴스1>이 국내 증권사 소속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0명 모두 오는 11일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현 3.50%인 기준금리가 동결된다고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금통위의 지난해 1월 마지막 인상 이후 '1년 연속' 기준금리 동결을 기정사실처럼 여기는 분위기다.
그러한 예측의 근거로 전문가들은 아직 불확실한 물가 안정세를 꼽았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긴 했지만 여전히 3% 초반이라 목표치인 2%에 미달했다"며 "지금 금리 인하를 얘기하기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권기중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물가 상승률 추이를 더 지켜봐야 한다"며 "미국보다 더 빠르게 하락했지만 아직 금리 인하를 단행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인상이나 인하 소수의견 없는 만장일치 동결을 내다보기도 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지난 금통위 의사록을 보니 금통위원 6명 중 매파(통화 긴축 선호)가 2명, 중도가 3명, 비둘기(통화 완화 선호)가 1명이었다"며 "비둘기파 위원의 의견이 상당히 뚜렷한 편이지만 당장 인하 소수의견을 낼 정도는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한은의 금리 인상 필요성이 낮아졌다고 본 배경에는 미국의 정책 변화 조짐이 있다.
지난해 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정책금리 결정 당시 금리 인하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언급하는 등 정책 기조 변화 조짐을 보여 시장의 인하 기대감을 부풀렸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국내적으로는 물가 둔화 기조를 확인한 가운데 대외적으로는 미국의 추가 긴축 가능성이 낮아지고 오히려 인하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국내 건설업 이슈 등 여러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동결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향후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은 3분기, 특히 7월로 수렴됐다.
전체의 90%에 해당하는 9명이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3분기로 지목했고, 그중 절반 남짓인 4명은 구체적으로 7월을 거론했다.
연내 인하 횟수는 절반(5명)이 2회를 예상했다. 다시 말해, 올해 말 기준금리는 지금보다 0.50%p 낮은 연 3.00%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물론 올해 3차례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된다는 예측도 4명에 달해 막상막하였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중립금리 상단이 대략 3%를 넘지 않으니, 한은은 연말 기준금리를 2.75%까지 낮춰줄 수 있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우혜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3분기 첫 인하 이후 4분기 1차례 추가 인하를 예상하지만 하반기 물가가 예상보다 빠르게 안정되면 4분기에 2~3번 인하도 가능하다고 본다"며 "연말 2.75% 또는 2.50%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의 기자회견은 외형적으론 매파적이나 내용을 뜯어보면 비둘기파 성향이 드러날 것이라고 봤다.
금리 인하에 대해 직접 언급은 피하면서도 연내 인하 여건이 조성될 수 있다는 자체는 인정할 것이란 관측이다.
윤여삼 연구원은 "지난 2개월 시장금리가 하락했기에 총재 발언이 외형적으로 비둘기파적이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추가 긴축의 강도를 높이긴 쉽지 않다는 점을 인정하는 등 내용적으로는 직전 금통위 때보다 톤다운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2분기에 금리 인하 시그널이 나올 것이란 기대도 있다. 우 연구원은 "한은은 금리 인하에 대한 얘기를 연준처럼 해 주진 않겠지만 2분기 후반이나 3분기 초반에 금리를 내리려면 2분기 중후반부터는 인하 시그널 정도는 나와줘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시공 능력 16위 중견기업인 태영건설의 기업구조개선(워크아웃) 신청으로 위기감이 확산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의 경우, 아직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준은 아니라고 봤다.
특히 한은은 앞서 레고랜드나 새마을금고 등 금융안정에 관한 문제들을 처리하면서 거시적인 금리 정책과 미시적인 유동성 공급 정책 사이를 구분하겠단 입장을 밝혀 왔다.
우 연구원은 "한은은 최근 태영건설 사태가 있긴 했지만 경기·물가 상황 전반을 봤을 때 금리 정책을 제약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하며 특히 금리 인하를 촉발할 요인은 아니라는 입장을 보일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도 "부동산 PF에 대한 우려가 많지만 문제의 심각성과는 별개로 한은과 금감원 등은 이 같은 문제에 있어 금리 정책이 아닌 유동성 공급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혀 왔다"고 지적했다.
이재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한은은 앞서 유동성 지원을 통해 시장을 안정시킨 경험이 있고 미국도 지난해 지역은행 위기 당시 같은 방식으로 문제를 넘긴 적이 있다"며 "한은은 금리 정책의 중요도를 생각하기에 앞서 유동성 지원을 더욱 영향력 있는 정책 수단으로 여기지 않을까 싶다"고 추측했다.
다만 부동산 PF가 향후 통화정책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완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용구 연구원은 "부동산 PF 부실 현실화 땐 비록 예견된 위기이긴 하지만 위기의 규모라든지 금융기관에 미칠 영향 등이 뚜렷하다"면서 "과거 금융 불안 사례를 보면 선제적 금리 인하는 아니라도 수습 과정에서 인하를 동반할 수 있어 인하를 앞당길 수 있는 재료"라고 덧붙였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