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물러나면 좌파 정부 들어설 가능성…한·미·일 안보 협력 후퇴할 듯"

FT "이재명, 현 한일 관계에 '수치스럽고 비참'…친중 성향"
중국 학자 "다른 지도자 집권해도 큰 관계 개선 기대 안 해"

윤석열 대통령(왼쪽부터)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16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에 열린 한미일 정상 회동에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 로이터=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령 사태 여파로 물러나면 차기 정부로 좌파 정부가 들어설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한·미·일 3자 안보 협력'이 후퇴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미·일 협력은 한일 관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윤 대통령이 양국 관계 개선에 긍정적이었던 반면 좌파 정부는 일본에 강경한 입장을 갖고 있다는 게 주된 이유다.

11일(현지시간) 영국 경제신문 파이낸셜 타임스(FT)는 "외교관과 공무원, 분석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2기)가 중국의 군사적 부상을 막기 위해 기울이고 있는 노력을 한국의 새로운 정부가 복잡하게 만들지 모른다는 의구심을 품고 있다고 말한다"고 전했다.

FT는 '한국의 새 정부'에 대해 현 정부의 반대 성향을 띨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이른바 좌파 정부다.

동아시아 정책 전문가인 다니엘 스나이더 스탠퍼드대 교수는 이로 인해 3자 안보 협력 구조는 "후퇴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트럼프가 그런 종류의 동맹에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은 한국의 좌파가 이 구조에서 쉽게 물러날 수 있도록 만들 것"이라고 관측했다.

FT는 아울러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과 당 대표인 이재명 의원의 성향을 짚었다.

매체는 "이 대표는 윤 대통령이 조기 퇴임할 경우, 윤 대통령 후임으로 가장 유력한 후보"라며 "이 대표는 북한과 러시아에 좀 더 유화적 입장을 취하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 가능성을 배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한일 외교 관계를 '우리나라 외교 역사상 가장 수치스럽고 비참한 순간'이라교 묘사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4월 로이터 통신 인터뷰를 통해 중국을 겨냥한 대만해협 긴장 고조에 관한 책임을 물은 뒤 같은 해 6월 이 대표가 당시 싱하이밍 주한 중국 대사와 만남을 가진 것도 매체는 언급했다.

이때 싱하이밍 대사는 예고 없이 발언지를 꺼내 윤석열 정부의 한·미·일 협력 강화를 비판했는데, 이 대표가 이에 별다른 반박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논란이 됐다.

주재우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중국연구센터장은 FT에 "이 대표와 민주당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북한과의 관계 개선의 전제 조건으로 보기 때문에 친중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익명의 한 일본 정부 고위 관계자는 FT에 개선된 한일 관계가 "불과 2년만 이어졌다"며 윤 대통령 전임자인 문재인 대통령의 재임 때와 같은 한일 긴장 관계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는 지난 며칠 동안 한국에서 일어난 일을 매우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오후 서울 성북구 중국대사관저를 방문해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와 관저를 둘러보며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3.6.8/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일련의 상황 속 트럼프가 한국과 일본에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고 FT는 밝혔다.

매체는 "이제 문제는 트럼프 정권 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이냐는 것"이라며 트럼프는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과 일본에 미군을 철수하겠다고 위협해 양국을 자주 불안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미국 기업 연구소의 아시아 안보 전문가인 잭 쿠퍼는 윤 대통령이 주요 국가의 보수적 지도자로서 트럼프와 생산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완벽한 위치에 있었다고 평했다.

그러나 지금 상황에선 윤 대통령이 퇴진을 하든 직에 남아있든지간에 한국을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할 것이라면서 "나는 이것이 한국에서 상당한 규모의 미군 감축을 위한 문을 열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반면 한중 관계 전문가인 상하이 거주 학자 셴 딩리는 "중국의 경우, 다른 지도자가 집권하더라도 관계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좌파 정당 출신의) 문 전 대통령은 중국이 반대하는 미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를 막겠다는 선거 공약을 철회했다"고 지적했다.

cho1175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