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한 인수 '독' 됐다…큐텐發 '뇌관' 터진다(종합)

큐텐, 티메파크에 위시·AK몰 등 무차별 인수로 외연확장
계열사들 누적적자 커지며 완전 자본잠식…구영배 '결단' 주목

서울 강남구 티몬 본사. 2024.7.23/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서미선 기자 = 위메프에 이어 티몬도 셀러 대금 정산 지연 사태가 터지면서 큐텐그룹 계열사 전체의 유동성 위기로 번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유통업계에서는 큐텐이 최근 2년 새 티몬에 위메프, 인터파크, 위시, AK몰 등을 '줄인수'하면서 큐익스프레스 나스닥 상장을 위해 무리하게 거래액을 키운 게 독이 됐다는 분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셀러 대금 정산 지연으로 위메프, 티몬에선 다수 셀러가 이탈하고 있다. 롯데쇼핑과 현대홈쇼핑, GS리테일, 신세계, CJ ENM 등 대형 유통업체들도 위메프, 티몬에서 판매를 철수했다.

큐텐이 운영하는 AK몰을 제외한 대부분 업체가 티몬, 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가 확산한 19일을 전후해 판매를 중단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e커머스는 셀러들이 빠져나가기 시작하면 상품 대금 지급 돌려막기에도 한계가 올 수밖에 없다"며 "결국 현금 흐름이 악화되며 자금이 경색되는 악순환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서울 강남구 티켓몬스터 본사의 모습. 2024.7.23/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큐텐은 G마켓 창업자인 구영배 대표가 세운 회사다. 구 대표는 2022년 티몬을 인수한 뒤 지난해 위메프와 인터파크, 올 들어 2월엔 글로벌 e커머스 위시를 인수하고 이후 AK몰도 사들였다. 특히 위시 인수에 2300억 원 규모가 들어갔다.

큐텐은 이처럼 몸집을 키워 물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를 나스닥에 상장시키려는 계획이었다.

나스닥 상장이 성사되면 유동성 확보가 가능하나, 6월 상장이 지연되고 있는 데다 이번 사태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연내 상장 자체가 어려울 것이란 게 대체적 관측이다.

큐텐이 인수한 e커머스 계열사들의 상황도 좋지 않다. 티몬과 위메프는 모두 누적 적자가 커지면서 자본금을 까먹는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티몬은 올해 4월 마감인 감사보고서를 아직까지 제출하지 못하고 있다.

티몬의 2022년 기준 자본총액은 -6386억 원이다. 부채총액은 7859억 원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했다.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유동부채는 7193억 원으로 22% 늘었고 단기간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은 1309억 원으로 22% 줄었다. 티몬이 보유한 현금은 담보를 제외하면 60억 원대에 불과하다.

위메프는 지난해 부채 총액이 3318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7% 늘었고, 자산총액은 같은 기간 19% 줄어든 920억 원이다. 부채가 총자산의 3배를 넘는다.

위메프, 티몬은 상반기 대거 할인행사를 벌이며 거래액을 키웠고, 이 돈을 정산에 쓰지 않고 인수 대금을 막는 데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티몬과 위메프, 인터파크까지 큐텐그룹 계열사의 파트너사는 6만 개에 달한다. 3개사 연간 거래액은 2022년 기준 6조 9000억 원으로 7조 원에 가깝다. 자금경색으로 대금 지급이 전면 중단될 경우 파장이 적잖아 금융권도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부도 우려마저 제기된다.

만약 큐텐그룹 e커머스 계열사가 법원에 파산 신청을 하면 법원에서 선임한 파산관재인이 남은 자산 등을 조사한 뒤 이를 처분해 채권자, 즉 대금을 정산받지 못한 셀러 등에게 배분하는 과정을 밟게 될 전망이다.

구 대표는 최근 싱가포르에서 귀국해 해결책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태 심각성이 커지면서 구 대표가 '중대 결단'을 내리지 않겠냐는 관측에도 무게가 실린다. 그룹 계열사 내 합병을 통한 사업구조 효율화, 고강도 구조조정 등이 방안으로 거론된다.

smit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