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에 너무 물렁했다"…민주, 李 선고 뒤로 밀린 尹 탄핵 '책임론'

'헌재 수호' 외쳤던 민주의 뒤늦은 후회…"이렇게 늦어질 줄 몰라"
이재명 2심서도 유죄 경우 친명·비명 갈등 더 깊어질 듯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시계를 쳐다보고 있다. (공동취재) 2025.3.24/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시계를 쳐다보고 있다. (공동취재) 2025.3.24/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김지현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2심 선고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보다 앞서 열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24일 민주당 내 균열이 감지된다.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최종 변론 이후 민주당이 뒤늦게 비상 행동을 시작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친명(이재명)계와 비명계 사이에서 '책임론'이 대두되는 분위기다.

헌재 수호·민생 정당 이미지 쌓았던 민주, 일부 패착 인정…"너무 물렁했다"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 선고 공판은 오는 26일 열린다.

반면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역대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모두 금요일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는 28일이 유력한 날짜로 예상된다.

윤 대통령의 탄핵 심판 최후 변론일은 지난 2월 25일이었다. 그러나 민주당이 헌법재판소를 압박하며 탄핵 심판 촉구 메시지를 낸 것은 3월9일이다.

2주간 민주당은 이 대표를 중심으로 국정 회복을 강조하며 '민생 정당' 이미지를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동시에, 헌법재판소를 압박하는 국민의힘을 비난하며 헌재 수호자 이미지를 형성했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당시를 회상하며 "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일이 이렇게 밀릴 줄은 몰랐다"며 "돌아보면 그때 너무 물렁했던 것이 좋지 않았다"고 밝혔다.

결과론이지만 해당 기간 헌재를 압박하지 않은 것이 윤 대통령의 탄핵 선고일을 앞당기지 못한 원인 중 하나라는 시각이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양기대, 김두관, 박용진 전 민주당 의원이 18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광명역사컨벤션웨딩홀에서 열린 비명(비이재명)계 주도의 야권 대선주자 연대 플랫폼 '희망과 대안' 포럼 창립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2025.2.1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양기대, 김두관, 박용진 전 민주당 의원이 18일 오후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광명역사컨벤션웨딩홀에서 열린 비명(비이재명)계 주도의 야권 대선주자 연대 플랫폼 '희망과 대안' 포럼 창립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2025.2.1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재명, 1심과 같은 의원직 상실형일 경우 친명·비명 내홍 격화

민주당 내 갈등은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2심에서 1심과 동일한 의원직 상실형을 받을 경우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비명계와 '야권 잠룡'들은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부각하며, 대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후보를 키워야 한다는 주장을 강화할 전망이다.

비명계 중심의 일부 모임에서는 이 대표의 2심 유죄 선고가 나올 경우 사법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외에서는 당 지도부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예상보다 늦어진 책임을 져야 한다는 메시지도 준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헌재가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안을 기각한 점도 이 같은 지도부 책임론에 힘을 싣고 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기각과 관련해 "섣부른 탄핵이었다는 지적이 뼈아프다"며 "민주당 지도부가 무거운 책임을 느껴야 한다"고 말했다.

mine12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