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악관 "상호관세 러시아 제외, 평화협상 때문…특별대우 아냐"
해셋 국가경제위원장 "협상 중 새로운 사안 올리는 건 부적절"
"50여개국 협상 위해 연락와…관세가 美소비자 아닌 자기들 부담이기 때문"
- 이창규 기자

(서울=뉴스1) 이창규 기자 = 케빈 해셋 미국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6일(현지시간) 러시아를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 이유에 대해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 때문이라고 밝혔다.
해셋 위원장은 이날 A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협상이 진행 중이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두 가지 문제를 혼동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러시아가 앞으로 다른 국가들과 전혀 다르게 대우받는다는 뜻은 아니다"라면서도 "하지만 지금은 러시아가 이 새로운 관세 대상이 아닌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다"라고 덧붙였다.
해셋 위원장은 또 "많은 미국인과 우크라이나인, 러시아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협상 중에 새로운 사안을 테이블에 올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185개국을 대상으로 최저 10% 기본관세부터 최대 50%의 국가별 관세를 발표했다. 다만 '미국·캐나다·멕시코 협정'(USMCA)을 맺고 있는 캐나다와 멕시코와 러시아 등은 제외됐다.
USTR에 따르면, 이번 상호관세는 수입 가격에 대한 수입 탄력성과 상대국의 총수입 및 총수출 등으로 계산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단순히 무역적자를 수입액으로 나눈 것과 매우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해 미국의 대러시아 무역적자는 25억 달러(수출 5억 2610만 달러, 수입 30억 달러)로 USTR이 공개한 산식을 적용하면 미국은 러시아에 43%의 관세를 부과했어야 했다.
한편 해셋 위원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국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주장은 부인했다.
해셋 위원장은 "여러 나라들이 (관세 조치에) 분노하고 보복에 나서고 있지만, 동시에 협상 테이블에도 나서고 있다"며 "전날 밤 미국 무역대표부(USTR)로부터 50개국 이상이 협상을 위해 대통령에게 연락을 취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이 그렇게 나오는 이유는 자신들이 관세의 상당 부분을 부담하게 될 것임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yellowapoll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