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단 한빛부대 '스마트 캠프'로…韓 첨단 ICT 적용한 '유엔 모델'화 추진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기지 구축…타 PKO임무단에도 적용
"축적된 국방 과학기술·노하우 반영…K-방산 기술 수출 확대 기대"

한빛부대 장병들이 UN남수단임무단 주둔지 내 주요 시설 보수공사를 하는 모습. (합동참모본부 제공) 2023.1.1/뉴스1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아프리카 남수단에서 유엔 평화유지군(UNMISS) 일원으로 활동 중인 남수단 재건지원단 '한빛부대'의 기지가 올 후반기 '스마트 캠프'로 거듭날 예정이다.

스마트 캠프는 국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유엔 평화유지활동(PKO) 기지의 열악한 임무환경을 개선하는 것으로, 이번에 한빛부대가 그 기준을 정립하면 스마트 캠프는 다른 PKO임무단 기지에도 적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4일 군 당국에 따르면 우리 군의 유엔 스마트 캠프 구축 사업은 우선순위를 고려해 △2024년 무선 네트워크 체계, 폐기물 관리체계, 지능형 경계감시체계 △2025년 하이브리드 에너지 관리체계, 물 관리체계, 통합관제체계 △2026년 시설물 관리체계, 식량·유류 재고 관리체계 순으로 진행된다. 이 가운데 올해 할당된 체계 개선을 위한 작업은 오는 10월쯤 착수될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 각지엔 모두 12개의 유엔 PKO임무단이 있고, 여기에선 총 9만여 명이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정전 감시, 무장 해제, 분쟁 재발 방지, 치안 유지, 전후 복구 등이 주된 역할이다.

한빛부대는 2013년부터 사회기반시설 재건 및 의약품 공여 등 인도적 지원 활동을 위해 파병 중인 공병 중심 부대로서 300여 명 규모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부족한 기반 인프라와 불안한 치안으로 인해 환경오염과 물 부족, 낮은 업무 효율성, 비효율적인 에너지·연료 사용, 경계·경비 여건 미흡, 불편한 인터넷 환경 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심지어 이로 인해 사상자가 발생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유엔은 회원국들에게 첨단 ICT 공여를 요청해왔고, 우리 정부는 지난 2021년 아시아 국가 최초로 개최한 제4차 유엔 평화유지 장관회의 때 우리의 강점을 살려 스마트 캠프를 기여공약 중 하나로 제시하게 됐다.

이후 우리 군은 최적의 ICT를 적용해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스마트 캠프를 구축한다는 계획 아래 한빛부대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올해 착수할 폐기물 관리체계 사업이 마무리되면 환경오염 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는 기지에서 나오는 쓰레기와 폐기물을 현지 업체가 매몰 처리하고 있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또 지금까진 위성통신을 제한적으로 사용해 인터넷 환경이 좋지 않았는데, 영내에 기지국을 세워 자체 LTE 통신망 등 무선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하면 모바일 기기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 열람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아울러 기지 주변 경계·경비를 위한 지능형 경계감시체계가 도입되면 고장이 잦은 폐쇄회로(CC)TV를 대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내년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상황 분석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국가별 실시간 자료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관제체계, 실시간 전력 소비량 공유와 원격 통제를 위한 하이브리드 에너지 관리체계 등이 구축될 예정이다.

한빛부대의 스마트 캠프 구축이 완료되면 육군 주도의 운용시험평가를 거쳐 국방부가 파병 부대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 스마트 캠프의 기준을 정립하게 된다.

이 기준은 향후 레바논 평화유지단 동명부대 등에도 적용될 예정이며, 이는 장기적으로 유엔을 통해 다른 PKO임무단으로 확대될 것으로 점쳐진다.

우리 군은 스마트 캠프를 성공적으로 구축해 유엔의 PKO 구상과 디지털 전환전략 추진을 선도하고, 유엔 스마트 캠프 사업 추진 과정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축적된 국방 과학기술과 노하우를 반영해 스마트 캠프 구축사업을 추진한다면 K-방산 기술의 수출 확대라는 측면에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pej86@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