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제국주의 맞서 연대" 한목소리… '푸틴 방북' 놓곤 딴소리?
김정은-푸틴, 정상회담서 "전략·전술적 협동 더 긴밀히"
러 "푸틴 방북 계획 없다" 했는데 北은 "쾌히 수락" 보도
- 노민호 기자
(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북한과 러시아가 13일 열린 정상회담에서 미국 등 서방국가들을 겨냥, 이른바 '제국주의자'들과 맞서 싸우는 데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북러 양측은 러시아에서 열린 이번 회담에 이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답방 문제를 놓고는 다소 결이 다른 설명을 내놔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4일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와 푸틴 대통령은 전날 러시아 아무르주 소재 보스토니치 우주기지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통해 "'제국주의자'들의 군사적 위협과 도발, 강권과 전횡을 짓부수기 위한 공동전선에서 두 나라 사이의 전략·전술적 협동을 더 긴밀히 하고 강력히 지지·연대하면서 힘을 합치기로" 합의했다.
북러 양측은 이번 정상회담 결과를 담은 문서는 따로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언론에 공개된 김 총비서와 푸틴 대통령의 발언, 그리고 러시아 크렘린궁의 관련 설명에 비춰볼 때, 군사·안보분야뿐만 아니라 경제·산업·사회·교육·의료 및 인도적 지원 등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한 북러 간 상호 협력·지원방안이 다뤄졌을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국제사회에선 러시아 측이 현재 진행 중인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 사용할 포탄 등 재래식 무기를 북한으로부터 지원받는 대가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정찰위성 등 개발·완성에 필요한 첨단기술을 제공하는 데 합의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또 러시아 측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에 따른 유엔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북제재를 해제·완화하는 데 앞장서거나, 앞으론 이를 아예 '무시'하겠단 의사를 밝혔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의 무기거래 등 군사협력 또한 안보리 결의 위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그간 각종 국제회의나 정상회담 참석 때마다 지각을 반복해 '지각 대장'이라고도 불리는 푸틴 대통령이 이번 북러정상회담에선 30분이나 먼저 현장에 나와 김 총비서를 맞이한 사실을 주목하고 있다. 러시아 측이 그만큼 이번 북러정상회담을 '필요'로 했단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단 점에서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도 푸틴 대통령의 '기다림'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용 물자가 소진돼 북한의 도움을 원한다는 걸 방증한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2019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김 총비서와의 첫 회담 때도 당초 예정했던 시각에 등장하지 않았다. 그러나 4년 전 당시에 김 총비서가 푸틴 대통령보다 30분가량 늦게 회담장에 모습을 보이면서 결과적으로 푸틴 대통령을 기다리게 만들었다.
박 교수는 이번 북러정상회담 장소로 우주기지를 택한 데 대해선 "이른바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명분으로 삼아 ICBM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전수하는 등 안보리 결의 위반 지적을 피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를 만들고자 한 것 같다"고 부연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이번 '대북 구애'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기인한 측면이 크다는 점에서 "'지속성'을 띨 수 있을지는 좀 더 비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박 교수도 "만약 우크라이나 전쟁이 정전(停戰)된다면 러시아의 외교 특성상 지금과는 다른 모습을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북러 간 협력이 얼마나 지속 가능할지에 대해선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 측은 푸틴 대통령의 향후 방북 가능성에 대해 일단 부인한 반면, 북한 관영매체는 푸틴 대통령이 방북 요청을 수락했다고 보도하는 등 '온도차'를 보였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번 회담 직후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관한 기자들의 질문에 "현재로선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그러나 노동신문은 김 총비서가 "푸틴 대통령이 편리한 시기에 공화국(북한)을 방문할 것을 정중히 초청했고, 푸틴 대통령은 쾌히 수락했다"고 보도했다.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정상회담 뒤 열린 연회에서 푸틴 대통령에게 방북을 요청했다고 한다.
푸틴 대통령이 앞서 2000년에 북한을 다녀온 적이 있다. 당시 그는 김 총비서의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하고 '북러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박 교수는 푸틴 대통령 방북에 관한 북한 측 보도에 대해 "북한체제 특성상 김 총비서만 일방적으로 러시아에 가면 안 된다"며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야 '최고 존엄'의 권위가 서기 때문에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ntig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