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몰아내고 당권 쥔 친윤…'겉통합·속대선' 비대위 구상

한동훈 탄핵안 가결 이틀 만에 '사퇴' 발표…비대위 전환
조기 대선 염두 비대위원장 고심…친한계 끌어안기 주목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대표직 사퇴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4.12.16/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국민의힘이 한동훈 대표의 사퇴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을 위한 수순에 돌입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 이후 조기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대선을 위한 '범보수 통합형' 비대위를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1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대표 사퇴를 선언했다. 지난 7월 대표에 취임한 지 5개월 만이다. 한 대표의 사퇴로 당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다. 앞서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 5명의 선출직 최고위원은 모두 사퇴했으며, 이날 한 대표 사퇴로 '한동훈 체제'는 사라졌다.

국민의힘 당헌에 따르면 선출직 최고위원 4명 이상의 사퇴로 궐위 때는 비대위를 설치하게 돼 있고 전국위원회 의장이 비대위 설치를 위한 후속 절차를 지체 없이 진행하게 돼 있다. 전날 밤 전국위원회 의장을 맡은 이헌승 의원은 "전국위원회 의장으로서 비상대책위원회 설치를 위한 절차를 지체없이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비대위원장 임명권은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당 대표 권한대행이 행사한다. 이에 권성동 원내대표는 당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당을 임시로 지휘하며 비대위원장을 임명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기현 전 대표 사퇴 당시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이 한동훈 비대위원장을 선임한 바 있다.

윤 대통령 탄핵 소추로 내년 상반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당은 비대위 전환 과정에서 조기대선을 염두에 둘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 키워드는 '통합'이 될 전망이다.

지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보수진영은 자유한국당(홍준표), 국민의당(안철수), 바른정당(유승민) 등으로 분열하며 41.08%를 득표한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홍준표(24.03%), 안철수(21.41%), 유승민(6.76%) 등 범보수진영 득표를 더하면 과반으로 문 전 대통령에 앞선다. 중도보수로 분류되는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중도층 표심을 받을 것을 고려하더라도 범보수진영이 분열하지 않으면 탄핵 대선에서도 승리할 수 있다는 게 여권의 계산이다.

'정권심판론'이 거셌던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지역구 선거 총득표수 차이가 5.4%에 불과했던 점도 보수 지지층 결집을 강조하는 이유로 분석된다.

여권에서는 과거 바른정당에서 활동한 김무성 전 대표를 비롯해 황우여 전 원내대표, 김황식 전 국무총리 등이 벌써부터 거론된다. 탄핵정국을 극복하기 위해 보다 참신한 인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다만, 여권이 위기를 맞은 만큼 새 인물을 수혈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대표직 사퇴 기자회견을 마친 뒤 국회를 떠나며 권성동 원내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12,1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당내 통합도 과제로 꼽힌다.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국민의힘은 친윤(친윤석열)계를 중심으로 '부결'을 당론으로 결정했다. 하지만, 여당에서 12명의 찬성표가 나오며 탄핵안은 가결됐다. 기권(3명)과 무효(8명)을 더하면 23명이 당론을 따르지 않은 셈이 된다. 이는 20여명으로 평가되는 친한(친한둥혼)계 수와 비슷한 규모다.

탄핵안 가결 직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한 대표에 대한 비토와 함께 당론을 따르지 않은 의원들에 대한 성토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친윤계가 중심이 될 비대위 전환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친한계 한 의원은 "탄핵을 막고 국민의 뜻을 따른 게 누구냐"며 친윤계를 비판했다.

pkb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