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공무원 적응 돕는 'AI 챗봇' 나온다…"2026년까지 2064억 투입"(종합)
지자체 최초 'AI 전략'…메타 '라마' 기반 자체 모델 개발
불법 콘텐츠 자동화 검출 기술·관광객 위한 챗봇도 구축
- 오현주 기자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서울시가 2026년까지 2064억원을 투입해 행정 업무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 자체 sLLM(소형 언어모델)을 구축해 공무원들의 업무를 돕는 똑똑한 챗봇(채팅 로봇)을 만들고 사회적 약자 돌봄 서비스를 강화한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2일 오후 서울시청에서 '서울시 AI 행정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지금 AI가 스마트폰에도 들어오기 시작했고, 모든 정보와 ICT(정보 통신 기술) 기술에서 AI가 녹아들었다"며 "행정 분야에도 접목해 시민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도 높이고 내부 생산성을 높이고자 'AI를 가장 잘 활용하는 서울'로 방향을 잡았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올해를 AI 행정 서비스 도입의 원년으로 삼고, 지방자치단체(지자체) 최초로 'AI 활성화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에서는 서울시 자체 소형 언어 모델 구축이 돋보인다. 시는 지난해부터 서울시 산하 디지털재단을 통해 메타(옛 페이스북)의 개방형(오픈소스) AI 모델 '라마'를 기반으로 내부 데이터를 학습시킨 모델을 만들고 있다.
박진영 정책관은 "보안성 문제 때문에 각 기관마다 자체적인 언어 모델을 개발하는 모습"이라며 "서울시는 오래 전부터 각 시스템에서 생산된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플랫폼이 충실히 돼 있기에, 다른 곳보다 소형 언어모델을 앞서서 추진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런 폐쇄형 AI 모델을 활용해 내부 업무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대표적으로 기존 서울시 공무원 업무용 챗봇 '서우리 주무관' 기능을 고도화 한다. 직원들이 다른 부서로 이동하더라도 빨리 새로운 업무를 익힐 수 있도록 돕는다.
박 정책관은 "지금은 룰(규칙) 베이스로 예상 질문에 답변을 매칭하는 형식으로 설계됐는데, (기능을) 더 고도화해서 직원들이 업무에 변동이 있더라도 바로 적응하고 학습하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시는 AI가 혼자 사는 어르신에게 주기적으로 전화를 걸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 기능을 확대한다. 단순·반복 업무에는 업무 자동화(RPA)를 적용한다.
이와 함께 △'온라인 불법·유해 콘텐츠 AI 자동화 검출' 시스템 △드론과 열화상 CCTV를 활용해 산불 조기 발견을 돕는 'AI 기반 산불감시 시스템' △AI 기반 119 종합 상황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서울시는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AI 서비스도 개발할 예정이다. 해외 방문객을 대상으로 서울 정보를 제공하는 '비짓서울'(visitseoul.net) 사이트에 영어·중국어 챗봇을 넣는다. 이를 통해 서울 관광지 추천, 여행 일정 수립, 다국어 언어 서비스 같은 서비스를 간편하게 제공한다.
박 정책관은 "행정 분야에서 보유한 데이터 중 상담 분야 데이터가 활용도가 높다"며 "AI가 상담 품질을 높이기 위해 자료 분석을 빨리 해주는 등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woobi12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