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 조절로 대장암 치료 가능성 제시

오창명·안진희 교수 공동 연구팀…암 세포 성장 억제 통해 치료 가능성 확인

오창명·안진희 교수와 이정윤·박수현 학생(왼쪽부터)/뉴스1

(광주=뉴스1) 조영석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세로토닌 수용체 중 하나인 HTR2B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대장암 세포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악성 종양의 생장 억제를 위한 약물 처방을 제시했다고 4일 밝혔다.

기분, 행동, 불안 등 신경계 활동을 조절하는 물질로 잘 알려진 세로토닌은 약 95%가 장 내 크롬친화세포(chromaffin cell)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세로토닌과 위장관 질환 간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는 학계의 주요 관심사이다.

지스트 의생명공학과 오창명 교수와 화학과 안진희 교수 공동 연구팀은 대장암이 아닌 환자와 대장암 환자에서 HTR2B 발현 비율에 따른 사망률을 확인, 대장암 환자의 조직을 채취한 후 정상 조직과 대장암 조직에서 형광 염색을 통해서 발현 정도를 비교했다.

실험 결과 대장암 환자 중 HTR2B의 발현율이 50% 이상으로 높은 집단은 약 8년 정도 경과 후에 생존율이 0%에 가까운 반면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은 약 60%의 생존율을 보였다.

또 대장암 환자에서 채취한 대장암 종양 조직과 이에 붙어있는 정상 조직에서 HTR2B 발현을 확인했을 때 대장암 조직에서 HTR2B의 발현 비율이 약 60%이고 정상 조직은 약 30%로 약 2배의 차이가 났다.

이는 전반적으로 대장암 종양에서 HTR2B의 발현이 높고, 대장 조직보다 대장암 종양 세포가 생장에 있어 세로토닌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오창명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세로토닌 수용체 HTR2B를 저해함으로써 대장암 세포의 성장 억제를 통해 치료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대장암 환자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kanjo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