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술 문화의 뿌리를 찾아서…'전통주 인문학'[서평]

전통주 인문학
전통주 인문학

(서울=뉴스1) 김초희 디자이너 = 신간 '전통주 인문학'은 김상보 교수가 2000년간 한반도의 술과 술안주·음주문화의 기원을 밝혀낸 '술 인문학서'다.

우리 조상들이 지녔던 음주 기록은 고대 중국 문헌에서 발견된다. 부여국의 영고·고구려의 동맹·예의 무천이 있고 마한은 하늘에 제사를 지낼 때 군집 가무 후 가무음주를 즐겼다고 후한서에 기록됐다.

2000~2500년 전경 '예기'에 따르면 하늘에 제사 지낸 다음 모여서 음주가무를 즐기는 데 조나 궤를 사용해 음식을 차리고 식기는 변·두·보·궤를 사용하고 술은 작에 따라 마셨다.

음식을 차리고 제사 후에는 술을 마시고 춤을 추며 즐겼다는 음복연은 연향 문화로 발전해 1910년 한일병합 때까지 이어졌다. 조선왕실의 가례연·진연·진찬연·영접연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우리 민족의 음주문화는 2000년간 오랜 시간의 연속성 안에 있다. 술과 함께하는 우리 연회 문화의 뿌리는 음양 사상이 깃든 유학 정신이다.

술 마심의 의미는 영혼을 살찌게 하는 것이 본래 목적이다. 술은 사람이 천도와 지도를 알게 해 주는 군자의 음료이다. 사람의 영혼을 술이 맑게 해주어 사람의 뜻과 신의 뜻을 화합하게 하는 매개체이다. 술을 마시는 데 있어서 도는 술과 술안주를 대할 때 만드는 사람의 노고를 생각하고 술을 통해 깨달아 겸손한 맑은 영혼을 갖도록 하는 데 술 마심의 의미가 있다.

'음진대소 삼잔일거(술을 다 마신 다음 크게 웃고, 술 석 잔을 한 번에 마셔라)'. 연회장에서 흥을 돋우기 위해 신라 왕실에서 사용한 놀이기구인 주령구에 적힌 지시 글이다. 14면체인 주령구는 참나무로 만든 지름 6㎝의 주사위와 같은 놀이기구다. 주령구는 동궁의 처소인 동궁월지에서 발굴됐다. 주령구에는 굴린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시 글이 한자로 새겨져 있다. 노래로 벌을 주고 강제로 술을 마시게 하고 춤추게 하며 신라 왕실은 이렇듯 즐겼다. 흥미 넘치는 우리 민족의 음주문화이다.

저자는 2000년 한반도 술 역사에서 술과 술안주, 음주문화의 핵심만을 골라서 담았다. 철기시대 후 도교와 불교의 유입이라는 문화적 변혁을 거쳐 술과 술안주 문화를 발전시켜온 장구한 술 콘텐츠를 역사적·서사적으로 집대성했다. 음주문화 속에 꽃 피운 술과 안주 문화를 중국과 한반도를 비교하고 고대, 중세, 근세까지 시간의 연속적 맥락에서 진화과정을 전체적으로 정리했다.

◇전통주 인문학/ 김상보 지음/ 헬스레터/ 4만원

a_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