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사이버보안 인재 육성 "보상 없으면 물거품"[기자의눈]
데이터 보안기업 72% "기술개발 인력 확보 및 유지 난항"
연차 쌓일수록 '탈보안' 추세…"커지는 책무에 상응한 대가 필요"
- 윤주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욕구위계이론. 동기와 성취의 메커니즘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으나 시사점은 있다.
사람은 대체로 낮은 수준(1‧2단계) 욕구를 만족한 뒤 사회적 성취나 자아실현을 목표로 한다. 적절한 수준의 물질적 보상을 전제하지 않고 성장 욕구를 강요하는 건 일반적인 사람은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다. 흔히들 말하는 열정페이다.
최근 사이버테러에 대응하고자 보안 인재 10만 명 양성 계획을 발표한 정부 정책에서 아쉬운 부분 역시 동기와 성취 관계의 고민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인공지능(AI), 양자컴퓨터, 클라우드 인프라 확산 등으로 보안 패러다임은 바뀌고 있다. 이를 악용한 사이버 위협도 고도화하고 있다.
보안 수요 증가가 불가피한데 이를 소화할 인력이 없다. 정부는 10만 보안인력을 양성하고자 인프라 지원, 교육 기회 확대, 해외 판로 개척 등에 1조 1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지만 가장 중요한 게 빠졌다.
바로 적절한 수준의 보상이다.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 보안기업 72%는 '기술개발 인력 확보 및 유지'가 어렵다고 응답했다. 연차가 쌓일수록 정보보안 인력 이탈은 심화한다. 2022년 12월 기준 전체 2만여 명 종사자 중 11~15년 경력은 11.5%, 15년 이상 연차는 9%에 불과하다.
연구개발 부분에서 가장 많은 일을 담당할 연차의 인력 비중이 너무 낮다. 보안업계에서 일을 하다 적정 수준의 보상을 기대할 수 있는 곳으로 인재가 이탈한다는 의미다.
가난은 나라님도 구제하지 못한다는 속담이 있지만 이는 산업 육성과는 결이 다른 문제다. 보안업체 절대다수가 중소기업이어서 보수 및 처우 현실화에 어려움이 있다면 산업진흥책이 먼저 나와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한 장기적 안목의 밑그림이 없다는 게 사이버 전사 10만 양병계획의 허점이다.
사이버 보안인재가 부족하면 IT 자산 유출은 물론 국가안보에서도 외부 세력 위협을 받게 된다. 보상과 인재 양성이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면밀한 정책 입안이 필요한 이유다. 그 전에 10만 양성에 실패해 외침에 시달렸던 과거를 반면교사 삼았으면 한다.
lego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