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글로벌 AI 규제 표준화 목표…AI 포용성 중요"

디지털 질서 규범 정립 주도권…서울선언에 이어 서울 AI 기업 서약 발표
"디지털권리장전 전 세계인에 적용하려면 AI 리터러시 중요"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이 22일 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전문가 세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뉴스1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정부는 각국의 다양한 인공지능(AI) 규제를 조화시켜 '글로벌 AI 규제 표준화'에 나설 계획이다.

22일 오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전문가 세션'에서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많은 국제기관이 새로운 규제를 시도하고 있지만 서로 조화되지 않고 표준화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어떻게 AI 서비스와 제품을 테스트할 것인가와 관련한 규정이 없다"면서 "정부와 국제기구, 전문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10년 간 시대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레거시(구식) 시스템과 간극은 더욱 벌어질 것"이라면서 "정부와 국제 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디지털 질서 규범 정립과 국제기구 설립을 주도하려는 입장이다. 지난해 9월 '디지털 공동번영사회의 가치와 원칙에 관한 헌장'(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아울러 전날 'AI 정상회의'를 열고 AI 안전·혁신·포용을 담은 '서울선언'을 채택했고, 이날에는 과기정통부가 주도하고 14개 국내외 AI 기업이 참여한 '서울 AI 기업 서약'을 발표했다.

강 차관은 "과기정통부는 5년 동안 AI, 디지털과 관련된 리스크를 평가했고, 내년 2월쯤 보고서를 발표할 계획"이라면서 "모든 리스크에 대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전문가 세션에 참석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정부가 발표한 디지털 권리장전을 전세계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AI 리터러시'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하 센터장은 "디지털권리를 전 세계인이 실천하기 위해서는 AI 리터러시가 모든 사람에게 갖춰져야 한다"면서 "AI 교육 프로그램을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AI를 개발하는 기업은 AI 교육 프로그램, AI 인프라를 제공해야 하고, 지속 가능한 AI 개발을 도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o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