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동위원소·탄소포집 응용기술"…국제협력으로 선도연구 수행

IBS·서울대·카이스트·화학硏…톱-티어 연구협력 플랫폼 선정

ⓒ News1 DB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기초과학연구원(IBS)·서울대·한국과학기술원(KAIST)·한국화학연구원 4곳이 해외 유수 연구기관과 협업해 연구 플랫폼을 구축한다. 희귀동위원소, 이산화탄소 포집·유용, 소재 설계 자동화, 감염병 등 분야서 선도적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톱-티어 연구기관 간 협력플랫폼 구축 및 공동연구지원'(이하 톱-티어) 사업 선정 내용을 29일 밝혔다.

톱-티어 사업은 세계 최고 수준 연구기관과 수월성 연구개발(R&D)을 수행하는 한편 인력·정보 교류를 통해 국내 연구역량을 높이는 게 목표다. 기존 연구, 인력 등을 분리 운용한 국제공동연구 지원체계를 개선한 것이다.

IBS는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서울대는 미국 스탠퍼드대, 카이스트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MIT), 화학연은 벨기에 Rega의학연구소와 매칭돼 공동연구를 한다.

IBS·RIKEN은 각 기관 중이온 가속기 시설 RAON, RIBF 운용 노하우로 시너지를 내 극한 희귀동위원소를 탐색한다. 이런 연구는 우주 원소의 기원과 희귀 핵의 성질 이해를 높일 뿐 아니라 물성과학, 신에너지, 의생명과학 등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관련해서 RIKEN은 약 1500개의 희귀동위원소 생성 및 활용, 새로운 원소(원자번호 113번 니호늄 Nh)와 희귀동위원소 171개를 발견하는 등 성과를 내기도 했다.

서울대·스턴퍼드대는 개별적으로 연구되던 수소 활용과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을 연계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CCUS로 생성한 합성연료를 수소 저장 물질로써 활용해 탄소 중립에 기여한다는 게 골자다.

스탠퍼드대는 해당 연구 분야에서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논문 20여 편, 네이처 본지 30여 편의 논문을 게재했다.는 또 캘리포니아 입지 특성상 재생에너지 연계 연구에 최적화됐다.

카이스트·MIT 연구팀은 전기화학 분야서 인공지능(AI)을 적용해 소재 설계 기반 및 인적 오류를 줄인 자동화 실험실을 구축한다. 이에 필요한 신에너지 소재 합성, 셀 조립, 평가 공정 자동화를 함께 개발한다.

화학연은 Rega와 함께 팬데믹 잠재력을 가진 바이러스 6종을 선정 후 치료제·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한다. 바이러스 6종으론 SARS-CoV-2, 인플루엔자, 뎅기(Dengue), RSV, 니파(Nipah), 리노바이러스(Rhinovirus) 등이 꼽혔다.

Rega 연구소는 세계 유일 대규모 무인 자동화 항바이러스제 스크리닝 시스템을 갖췄다. 또 연구 책임자인 조한 네이츠 교수는 다수의 항바이러스제 개발 및 임상시험을 진행한 경험이 있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연구환경 변화에 따라 유연하고 전략적으로 톱-티어 협력 플랫폼을 운영해 간다는 방침이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