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제철에도 '차세대 원자로', 기술 실증에 2조4810억 투입

과기정통부·원안위·산업부, 차세대 원자력 기술개발·실증 방안 발표

차세대 원자력 확보 기술개발 및 실증 추진방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24.06.04 /뉴스1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정부가 탄소중립, 전력 수요 급증 대응, 수출 창출을 목표로 차세대 원자력 개발 사업을 본격화한다.

단기적으로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를 2030년대 상업운전개시를 목표로 삼고 중장기적으로는 소듐냉각고속로와 같은 새로운 종류의 원자로 기술 확보와 실증을 돕는 사업에 2조 4810억 원을 투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제8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 회의에서 '차세대 원자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추진 방안'이 심의 의결됐다고 4일 밝혔다.

차세대 원자로는 현재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i-SMR 같은 경수로 원전뿐 아니라 비경수로 원전도 포함한다. 경수로 원전은 냉각제로 물을 사용하고 비경수로는 소듐, 헬륨(고온 가스), 용융염 등이 냉각제다.

i-SMR은 데이터센터, 공단, 오지 등 전력 수요가 높거나 송전망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발전 용도로 쓰일 뿐 아니라 수소 생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2030년대 확장될 SMR 시장을 노리고 기술 경쟁이 이뤄지는 상황이다.

정부는 단기적으로는 i-SMR 사업에 역량을 집중해 2025년 표준설계 완료, 2028년 인가 획득, 2030년대 상업운전을 달성할 방침이다.

실증을 겸하는 i-SMR 초기 건설·운영 지원 사업에는 약 4000억 원이 전력기금에서 투입된다.

또 상용화 이후의 시장 대응을 맡을 'i-SMR 홀딩스'를 민관 합작 사업 법인으로 설립한다.

중장기적으로 차세대 원자로 확보가 원활히 추진되도록 로드맵을 2024년 하반기 수립·발표한다. 로드맵에는 경쟁력 및 파급성, 상용화 가능성 등을 종합해 지원할 노형을 선정한 결과와 민관 역할 분담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개발이 추진 중인 차세대 원자로에는 고온가스로(HTGR), 소듐냉각고속로(SFR), 용융염원자로(MSR), 히트파이프 원자로(HPR) 등이 있다.

이들은 원자력에너지를 활용해 발전뿐 아니라 제철·석유화학·수소생산 등 열을 이용하는 산업, 선박 동력원, 우주·극지 등 분산에너지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런 차세대 원자로 설계역량을 보유한 민간기업 육성 및 신속 상용화를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한국형 차세대 원전 실증 프로그램(K-ARDP)에는 2026년부터 2034년까지 2조 4810억 원이 투입돼 민관 합동으로 기술개발 및 실증까지 시도한다. 미국도 유사한 민관 합동 프로그램을 운용 중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i-SMR을 시작으로 차세대 원전 규제 체계 수립 작업에 착수한다.

이외에도 정부는 미국, 영국 등과 상호 보유한 강점 기술을 공유하고 보유 연구시설을 활용하는 국제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하고 민간 참여 생태계를 촉진하는 '차세대 원자로 연구조합' 설립, 전문인력 양성센터 확대 등을 추진한다.

seungjun24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