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소재 기술 자립화·미래소재 선점…공급망 대응력 높여라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서 '첨단소재 R&D 발전전략' 논의
유상임 장관 "첨단소재, 전략기술분야 기술력 좌우하는 핵심 동력원"

첨단소재 R&D 발전전략(과기정통부 제공)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정부는 글로벌 공급망 위기 상황에서 우리의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첨단소재 기술의 자립화 및 미래소재 선점 방안 마련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 제5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첨단소재 기술 수준에서 미국, 일본에 이어 중국도 우리나라를 추월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첨단소재의 기술력 저하는 우리나라 핵심 공급망 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에 정부는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에서 100대 첨단 소재(5년 내외)와 100대 미래소재(10년 이상)로 구분하는 투트랙 R&D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높은 대외 의존도 등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큰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하고 향후 5년 내외로 조속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사업화 가능성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10년 이상 중장기 미래를 보고 국가전략기술 중심의 '100대 미래소재' R&D도 차질 없이 지원해 원천기술에서 초격차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과가 다양한 분야로 활용·확산할 수 있도록 '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도 새롭게 구축한다.

'소재 분야 연구자', '수요·공급기업'이 참여하는 '첨단소재 기술 성장 협의체'(가칭)를 구성해 소재 원천기술의 현안 대응력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첨단소재 원천기술의 성장을 저해하는 부분 해결 및 지원을 위한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 R&D 프로그램'도 추진한다.

이외에도 정부는 첨단 연구를 위한 소재 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 AI 활용 연구를 소재 연구에 도입하기 위한 '소재 연구 AI·데이터 생태계 플랫폼' 기능을 확대하고 소재 연구 허브(HUB) 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더불어 정부는 디지털 연구 방법론에 특화된 소재 연구 인력양성 및 기업 현장의 신진 연구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또 젊은 과학자가 글로벌 연구자와 협력할 수 있는 기회 확대 사업(글로벌 영커넥트)도 추진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첨단소재 분야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주요 전략기술분야의 기술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원"이라며 "과학기술 관점에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소재 원천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yjr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