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올인하는 이통사…거세지는 인적 쇄신 바람
KT, 네트워크 자회사 신설 후 인력 재배치·희망퇴직 시행
SKT, 퇴직 지원제도 위로금 상향…"AI 승기 잡으려면 투자 필요"
- 조재현 기자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인공지능(AI)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국내 이동통신사의 인적 쇄신 바람이 거세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을 정리 또는 외주화하는 식의 비용 효율화로 AI 사업 투자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기술 경쟁에서 앞서려면 수조 원대 투자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20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KT(030200) 노사는 17일 네트워크 인프라 업무를 전담할 자회사 두 곳을 내년 초까지 신설해 본사 인력을 재배치하고, 특별 희망퇴직을 시행하는 인력 구조 혁신 방안에 합의했다. KT는 이번 결정이 'AICT'(AI+ICT) 기업으로 전환에 필요한 체질 개선 작업이라고 강조한다.
회사의 인력 재배치 안에 반발한 노조원들이 단체행동에 나서는 등 자칫 갈등이 깊어질 뻔했지만, KT는 전출 지원금 및 퇴직 위로금 인상과 고용 보장안 등을 제시하며 노조 마음을 돌렸다.
합의안에 따르면 전출 직원들의 기본급은 본사의 70% 수준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10년 이상 장기 근속자에게는 본사와 동일한 복지 혜택과 전출 지원금을 제공한다. 또 자회사에서 정년을 맞은 직원들이 희망하면 3년 동안 촉탁직으로 고용을 보장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전출을 원하지 않는 직원은 이달 22일부터 11월 4일까지 특별 희망퇴직 신청을 할 수 있다. 전출 대상이 아니더라도 15년 이상 근속자 중 정년이 6개월 이상 남은 직원이면 퇴직 신청이 가능하다. 전출과 희망퇴직 모두 선택하지 않고 본사에 남길 원하면 공백 상권 영업으로 직무를 전환해야 한다. 분사와 희망퇴직을 통한 인력 조정 규모는 KT 본사 직원의 약 30% 정도다.
자회사 설립 및 인력 감축에 따른 통신 경쟁력 저하 우려에 KT는 "네트워크 인프라 관련 투자를 유지한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017670)은 최근 퇴직 프로그램 '넥스트 커리어'의 위로금 규모를 기존 5000만 원에서 최대 3억 원으로 높였다. 위로금 인상은 2019년 해당 제도 도입 이후 처음이다.
이 프로그램은 정년퇴직을 앞둔 직원이 2년간 유급 휴직을 하고 창업 등 다양한 시도를 해본 뒤 복직 또는 퇴직을 선택할 수 있는 일종의 복지 제도다.
회사 측은 "퇴직하는 직원을 더욱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한다. 업계 안팎에선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SK텔레콤 직원의 평균 연봉은 약 1억 5000만 원으로 이동통신 업계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AI 분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기 고임금 구조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인력 효율화 움직임은 미래 먹거리 투자 비용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의도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KT의 경우 전출 지원금 및 퇴직 위로금 지급으로 일회성 비용은 늘겠지만, 내년부터 인건비는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향후 5년간 AI·클라우드 사업에 2조 4000억 원을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 연초부터 1000명이 넘는 AI 전문인력도 채용 중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부터 AI 분야에 총 3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왔다.
한편, 휴대전화 가입자 정체 속에서도 이동통신 3사의 3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1조원을 넘을 전망이다.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회사별 영업이익은 SK텔레콤 5250억 원, KT 4548억 원, LG유플러스 2522억 원으로 예상된다.
cho8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