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수요 읽고 주파수 자원 계획해야 5G 시대 낭비 없다"

"5G 주파수 계획 있어도 수익성 없으면 서비스 도전 어려워"
"3G에 주파수 할당 않더라도 소외되는 소비자 없어야"

2일 서울 중구서 열린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연례 모바일 콘퍼런스 M360 APAC. 사진은 '2030년을 향한 스펙트럼: 용량, 경제성 및 네트워크 합리화' 세션이 진행되는 모습/뉴스1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정부가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분배 계획을 세우더라도 어떤 데이터 이동(트래픽)이 생길지, 새로운 서비스 수요가 어떨지는 기업이 안다. 규제 당국은 이를 반영해 올바른 신호를 보내야 한다"

2일 서울 중구서 열린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연례행사 'M360'에 참여한 풍치켱 악시아타 규제부문장은 이같이 강조했다. 악시아타는 말레이시아 기반 다국적 통신 대기업이다.

5G 자원 계획을 정부가 선제적으로 제시하기보단 민간 시장의 서비스 현황부터 살펴야 한단 의미다.

이날 GSMA 등 글로벌 통신업계 관계자들은 5G 품질 개선에 필요한 주파수 자원 확보를 논의했다.

풍 부문장은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 통신시장 중 비교적 성숙했지만 이외 상당수는 5G 통신 서비스를 보급할 준비가 안 됐다"며 "인도네시아는 5G 서비스 핵심 대역 'C밴드' 사용에 앞서 GSMA와 논의를 이어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민간 기업과의 협력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대목이다.

5G 주파수 분배 계획이 비교적 잘 닦여진 우리나라서도 비슷한 주문이 나온다.

현장에 참여한 한 국내 통신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스펙트럼 플랜 등이 비교적 뚜렷하게 제시됐지만 5G 기반 서비스의 수익성이 불확실해 기업은 도입에 주저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세대 통신 서비스로 나아가는 과정서 소외되는 소비자를 살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미국 통신기업 우클라의 가일즈 마크 리드 애널리스트는 "최근 3G 서비스 종료를 검토하는 중동이 대표적"이라며 "4G로의 이동을 유도하고자 3G에 주파수 제공을 중단하자 되레 2G 서비스로 회귀하는 이용자들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풍 부문장 역시 "구세대 통신을 종료하는 건 주파수의 효율적 사용에 필수적이지만 그 과정서 소비자가 소외돼선 안 된다"며 "결국 기업의 수익과 시장 점유율을 악화시키고 장기적으로 소비자 신뢰도 잃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카마고스 루시아나 GSMA 주파수부문장은 "주파수 대역은 적시에 적절한 조건으로 제공돼야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이 있다"며 "가격과 경제적 효용, 통신 서비스 생산 과정서 유발되는 탄소배출 등 사회 전반을 검토해야 자원 계획을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