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 사태'보다 심각"…위메프·티몬發, e커머스 파장 '경계'
미정산에 취소·환불 요구…판매자 이어 고객 이탈 가속화 예상
업계 신뢰도 하락 우려 속 '모기업 재무건전성' 중심 재편 가능성
- 김명신 기자
(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위메프, 티몬 발(發) 판매 대금 미정산 사태와 관련해 e커머스업계에서는 고객의 신뢰도 하락이 업계 전반으로 미칠 파장에 대해 경계의 시선을 내놓고 있다.
특히 회사 측의 미온적 태도도 '큐텐그룹 자금난'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미정산 사태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정산 시스템 도입 계획 외 공식 대응에 나서지 않는 상황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큐텐의 자회사 위메프와 티몬 미정산 사태가 불거지면서 온라인상에는 회원 탈퇴 인증과 피해 사례글이 이어지고 있다. 판매자(셀러) 이탈이 현실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객 이탈과 취소, 환불 사태가 이어지면서 '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머지포인트 사태는 2021년 8월 불거졌다. 머지플러스가 금융위원회에 등록하지 않고 판매대행사를 통해 온라인 판매 채널에서 모바일 상품권인 '머지 포인트 상품권'을 발행가액 대비 20%가량 할인된 금액으로 판매하다 돌연 포인트 판매를 중단하고 사용처를 축소하면서 '환불 대란'이 불거졌다. 피해액만 1000억 원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당시 머지플러스의 자본금은 30억 원대로 1000억 원 넘게 발행된 포인트 환불 사태가 발생하면서 소비자 피해가 컸다.
이번 사태 배경 역시 티몬의 감사보고서 미제출이 촉발됐다. 지난 4월 마감돼야 할 티몬의 감사보고서는 현재까지도 제출되지 않으면서 위메프와 티몬 미정산 사태와 맞물려 '큐텐 자금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티몬의 마지막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에 이미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유동부채가 7193억 원으로, 단기간에 현금화할 수 있는 유동자산도 1309억 원으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현금(보통예금)도 60여억 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티몬이 최근 선불충전금(티몬캐시)과 상품권 할인 공세와 선주문(선결제 후 한 달 뒤에 상품권을 발송) 형태의 판매가 단순히 현금 확보 차원을 넘어 우려의 대상이 되는 이유도 '머지포인트 사태'와 맞물린다.
A 업체 관계자는 "티몬의 상품권, 티몬캐시 10% 할인 공세는 e커머스업계에서는 이례적"이라면서 "통상 2~3% 할인에 비해 3배 이상 할인율을 높인 것으로 지난해 무리한 인수로 인한 자금난 대응 차원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위메프와 티몬의 거래액 규모가 큰 만큼 이번 사태가 확대된다면 파장이 클 것으로 우려한다. 실제로 큐텐에 따르면 티몬의 지난해 거래액은 전년 대비 66%, 위메프는 50% 상승했다. 티몬에서 판매한 사업자들의 평균 성장률은 160%, 위메프도 140% 이상 증가했다.
B 업체 관계자는 "티몬과 위메프의 상반기 거래액만 조 단위로, 정산 미지급금으로 묶여있는 자금이 조 이상이 될 것"이라면서 "보유한 자산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충당해야 하는데, 전자상거래 특성상 한계가 있는 데다 총체적으로 리스크를 안고 있는 만큼 긴급 수혈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무엇보다 머지 사태가 개인 피해에 집중됐다면 큐텐 사태의 경우 판매자와 소비자 모두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더 심각한 상황으로 봐야 한다는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 플랫폼 특성상 판매자이자 소비자인 탓에 연루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머지 사태보다 심각한 수준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면서 "이번 사태를 통해 e커머스에대한 신뢰도 하락의 우려도 있지만 모기업의 재무건전성을 토대로 시장 전반으로 재편될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lil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