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AI 자동 해충 포획기' 개발…"연간 200시간 노동 절감"

파밤·담배거세미나방·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등 3종 예방

무인 예찰 포획 장치(AI 트랩). 농진청 제공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앞으로 노지 밭작물을 재배할 때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해충을 포획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200시간의 노동시간과 1077만 원의 비용을 절약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이같은 기능을 가진 '무인 예찰 포획 장치(AI 트랩)'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AI트랩은 성 유인 물질(페로몬)을 이용해 해충을 유인, 포획한다. 이후 영상을 확보하면 AI가 해충 종류와 마릿수는 물론, 유입 방향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콩에 피해를 입히는 파밤·담배거세미나방,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등 3종을 예방할 수 있다.

유인구 구조를 변경하고 페로몬 종류를 바꾸면 나방류, 노린재류 등 종류가 다른 해충을 유인할 수 있다.

영상을 수집한 후에는 자동으로 해충을 분쇄, 배출한다.

농진청이 2년간 현장 검증한 결과, 무인 예찰 포획 장치의 정상 영상 수신 및 포획량 판별 정확도는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사람이 직접 방문해 해충 발생을 조사하는 기존 인력의존형 예찰과 비교해 노동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연간 200시간, 비용적으로는 1077만 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농진청은 앞으로 포획 장치 구조 변형 및 유인 물질 장기 활용, 해충군 다양화 등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과 연계해 활용 범위를 넓혀갈 방침이다.

정병우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장은 "무인 예찰 포획 장치는 해충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환경정보(데이터)와 연계해 해충의 이동 경로를 해석하는 데도 유용한 기술"이라며 "앞으로 이 기술이 각 지역 관찰포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노지 스마트농업의 개별요소 기술로 활용해 자동방제와 연결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phlox@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