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계란 수요 줄어도 생산비·공급가는↑…"유통구조 손본다"
우유 PB 상품 대신 유업계-대형마트 공동브랜드 마련
계란 후장기 거래 폐지…日 4.5억~7.05억 생산비 절감
- 임용우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정부가 축산업 개혁에 시동을 걸었다. 대표적으로 원유의 경우 해마다 수요는 줄어드는데 생산비와 공급가는 나날이 오르면서 '소비 침체'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과잉 생산된 원유 처리 문제도 골칫거리다.
이에 정부는 유통업체와 유업체의 공동브랜드 상품을 만들어 과잉생산된 음용유용 원유를 소진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중간 유통단계를 생략, 농가-유통업체의 직거래 방식을 통해 소비자에게는 보다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선보일 수 있어 소비 촉진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낙농산업 중장기 발전 대책'과 '계란 가격조사·발표 체계 및 농가-유통인 거래 방식 개선 방안'을 추진한다.
두 대책 모두 관행적인 유통구조와 비효율적인 생산 방식 등을 개선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식품부는 2030년 국내 원유 생산량을 200만 톤 수준으로 유지하고, 현행 44%인 유제품 자급률을 48%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1960년대부터 이어져 온 생산자단체의 계란 산지가격 고시와 후장기 거래가 폐지되고, 표준거래계약서를 도입한다.
농식품부는 우선 유제품 생산·유통 비용 절감을 위해 기존의 PB 상품을 대체하는 유통업체-유업체의 공동브랜드를 마련한다.
PB 상품은 유통업체가 생산업체에 주문해 자체 브랜드로 출시한 것을 말하는데, '상품성이 낮다'는 인식이 있어 소비자로부터 크게 선호받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유통업체와 유업체의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PB 상품을 대체하기로 했다. 기존 PB 상품에 대한 인식 전환 및 과잉 생산된 음용유용 원유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란 판단이다.
용도에 맞춘 생산 방식의 도입과 사료 첨가제 사용량 감축을 위해 원유 용도에 제과제빵용, 농축우유용 등을 추가하고 원유가격 산정체계(성분·위생가격, 인센티브)도 개편한다.
계란 산지가격 고시와 후장기 거래도 폐지하기로 했다.
계란 생산자단체는 1960년대부터 재고량, 유통 흐름 등을 고려해 권역별 산지가격을 고시해 왔다. 이는 농가와 유통인 간 실제 거래 가격이 아닌 미래 거래 희망 가격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작용해 왔다.
산지가격 고시 대신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산지 거래 가격을 조사해 발표할 예정이다.
후장기 거래는 계란을 구입할 때 매입 금액을 확정하지 않고 선별 과정에서 발생한 등외란 비중, 납품업체에 판매한 가격 등을 고려해 매입 후 4~6주 후 가격을 결정해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를 대신해 실거래가격, 검수 기준 등을 명시한 '계란 표준거래계약서'를 도입한다.
농식품부는 계란 한 구당 10~15원가량의 생산비 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통상 하루에 4700만 개의 계란이 생산되는 만큼 일 4억 5000만~7억 500만 원의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셈이다.
산지가격 고시 폐지와 표준거래계약서로 인해 소비자들의 구매하는 비용은 더욱 낮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자와 유통업계는 직거래, 온라인, 공판장 등 다양한 경로를 활용한 거래가 가능해지고 협상 비용 등 거래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축산업의 미래를 위해 유통구조 문제와 생산 과잉, 불합리한 가격 제도 등을 해소하려고 한다"며 "축산업의 발전은 물론, 소비자들이 보다 저렴한 가격에 우유와 계란을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phlox@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