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 이하' 성장에도 "8월 금리인하 난망"…10·11월 무게
상반기 한국 경제 성장률 2.8%…두 달 전 전망치 소폭 미달
"연내 인하 압력 강해졌지만…금융안정 탓 연말 인하 유력"
- 김혜지 기자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올 상반기 경제 성장률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다음 달인 8월보다 4분기인 10~11월 단행될 것이라는 예상에 무게가 실린다.
경기·물가 둔화 흐름이 동시에 확인되면서 기준금리 인하 명분이 뒷받침되고 있지만, 섣부른 금리 인하 땐 집값 상승 기대 심리가 자극돼 가계부채 재급증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한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2.8%로, 지난 5월 전망한 2.9%를 0.1%포인트(p) 하회했다.
구체적으로는 1분기 전기 대비 1.3%라는 '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이후 2분기 마이너스(-) 0.2% 역성장하면서 기대치를 밑돈 셈이다.
올해 1분기 날씨 등 일시적 요인으로 양호했던 민간소비 증가율이 2분기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여파로 꺾이면서(전기 대비 0.7%→-0.2%) 상반기 경제 성장률이 전망치에 미치지 못했다.
부진한 경기, 특히 소비·투자 위축 등의 내수 냉각은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은이 이번 3분기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열리는 8월 금리를 내릴 가능성은 작다고 본다.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먼저 기준금리 인하와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시행 연기 등이 겹칠 경우 가계부채가 다시 급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역성장을 어느 정도 기대했지만, 성장률 하락 폭은 물론 내용도 다소 실망스러웠다"며 "그동안 국내 성장을 견인하던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가 하락세로 돌아섰고 내수 관련 각종 지표 역시 동반 부진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순한 성장률 부진뿐만 아니라 소비·투자 모멘텀이 기대보다 못하다는 측면에서 한은이 조기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필요성이 커졌지만,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가격 급등 현상이 한은의 조기 금리 인하를 어렵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는 9월로 예상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정책금리 인하 여파를 확인할 필요성도 있다.
이승훈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10월 금리 인하에 착수한 이후 내년 1분기까지 0.75%p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한다"며 "기본 시나리오는 8~9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5%를 밑돌고, 9월 연준의 인하를 확인한 이후 인하에 나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이 역대 최대인 2%p에 달하는 가운데 선제적인 금리 인하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위험성은 무시할 수 없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 정책금리가 2%p나 역전된 지금 상황이 환율에 '절대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좋은 영향이 '절대' 아닌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며 "이런 때 굳이 먼저 통화정책을 완화할 이유는 없다"고 분석했다.
오는 8월 22일 금통위 이후 9월에는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가 열리지 않는다. 연내 남은 금통위는 10월 11일과 11월 28일로, 한은이 기준금리를 '연내' 내리려면 이들 두 회의 중 하루를 택할 수밖에 없다.
금융 안정 탓에 8월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가 물 건너간 것은 맞지만 연내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시장에 살아 있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GDP는 몇몇 수출 주도 업종만으로 경기를 끌고 가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확인했고 3분기 이후 이 흐름이 되돌려질 가능성은 작다"며 "여전히 물가가 목표치 위에 있어 한은의 금리 정책이 얼마나 변화할지 예단하긴 어렵지만 이번 2분기 GDP 발표로 한은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이 더 높아진 것은 분명하다"고 진단했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