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돗물 유충 원천 차단·홍수 예방에 올해 1768억원 투입

환경부, 2023년 물관리 분야 10대 핵심과제 발표
유충 차단 등 수질관리, 탄소중립 이행, 해외 진출 등 추진

울산 중구 태화종합시장에서 상인이 모래주머니를 준비해 침수에 대비하고 있다. ⓒ News1 윤일지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환경부는 2일 '기후위기에도 국민이 안전하게 누릴 수 있는 물 안심 사회 구현'을 목표로 한 '2023년 물관리 분야 10대 핵심과제'를 발표했다. 수돗물 유충 차단, 물을 활용한 탄소중립 이행, 물 산업 해외시장 진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환경부는 △물 위기로부터 안전한 사회 구축 △국민이 함께 누리는 통합물관리 성과 △새로운 물의 가치 창출 등의 분야에 10개 과제를 추진할 방침을 밝혔다.

안전한 사회 구축을 위해 환경부는 기후위기를 고려한 스마트 홍수관리를 추진한다.

인공지능(AI)·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극한 강우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최적의 시간(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해 홍수예보 지점을 기존 75개에서 223개로 늘리고, 시간은 3시간 전에서 6시간 전으로 앞당긴다.

올해 홍수기부터 서울 도림천에 인공지능(AI) 홍수예보를 시범 적용 후 전국으로 확대하고, 하천범람지도‧도시침수지도 등을 구축‧보완해 종합적이고 세밀하게 홍수정보를 제공한다.

또 홍수방어 기반시설(인프라)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통해 집중호우에 의한 도시침수와 하천범람 대응력을 확보한다. 광화문과 강남역에 대심도 빗물터널을 설치해 하수관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집중호우로부터 도시침수를 방지한다.

올해 1541억원을 들여 하수도시설을 개량하는 동시에 서울 도림천 유역에는 지하방수로를 오는 11월 착공한다.

가뭄도 대비한다. 지난해 영산강과 섬진강 등 5개 댐 유역의 강수량은 평년 대비 67% 수준으로, 광주시와 전남도는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다.

발전댐인 보성강댐의 발전용수를 주암댐으로 방류해 생공용수로 활용하고, 댐 용수를 대신한다.

섬 지역에는 우리 기술로 개발한 해수담수화 선박을 투입하고, 지하수저류댐 설치, 병입수돗물 지원 등으로 용수를 공급한다.

증가하는 미래 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체수자원 발굴에 올해 8억톤 규모 하수 재이용수를 공급하고, 경기권역에 연간 1억7000만톤 규모의 재이용수 공급시설 신설을 추진한다.

국내 제3규모의 석유화학단지인 대산임해 산업지역에 용수공급을 하는 대산임해 해수담수화시설도 2024년까지 완공할 방침이다.

녹조관리도 강화한다. 환경부는 경보지점을 29개에서 37개로 확대하고 조류독소 감시를 강화한다.

수질오염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초기유출수 차단 목적인 완충저류시설을 올해 32개소로 확대한다. 전문 방제 인력 육성 및 관련 장비 개발을 위한 수질오염사고 통합방제센터를 구축한다.

취수원부터 정수장, 배수관로, 수용가까지 상수도 전 과정에 대해 정보통신(ICT) 기반의 지능형(스마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정수장의 안전관리도 강화한다. 모든 광역상수도 정수장(43개)에 AI 정수장을 도입하고, 광역상수도 48개와 지방상수도에 스마트 관망관리 기반시설 구축을 완료한다.

환경부는 올해 227억원을 투입해 153개 정수장에 유충 유출 차단시설을 설치한다.또 유충을 정수장 감시항목으로 지정해 모니터링도 강화한다.

조류독소 관리 강화를 위해서는 정수장 감시항목을 1종(마이크로시스틴-LR)에서 모든 마이크로시스틴으로 강화하고, 분석항목도 기존 4종에서 6종으로 확대한다.

노후상수도 개량과 급수설비 위생관리도 강화한다.

통합물관리 성과를 위해 차별없고 안정적 물 공급 등을 환경부는 추진할 방침이다.

지역간 수도서비스 격차 완화와 함께, 가뭄 등 기후위기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용수공급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도사업 통합도 본격 추진한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 물연구원들이 유충을 현미경으로 확인하고 있다. ⓒ News1 박지혜 기자

당초 수도사업은 지자체 고유사무로서 개별 지자체에서 수도요금을 재원으로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지역 규모와 재정, 인력의 전문성 등 상이한 여건으로 지역별 수도요금 등이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지자체가 수도통합을 추진할 수 있도록 수도법에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수도사업 통합 지침서도 제공할 예정이다.

식수난이 잦은 통영 욕지도, 옹진 덕적도에 지하수저류댐 설치를 우선 추진하고, 지하수저류댐을 전국으로 확대하기 위한 이행계획을 수립한다. 강원 인제군, 충북 영동군, 경북 김천시는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을 위해 분산형 용수공급시스템을 설치한다.

새로운 물의 가치 창출을 위해 환경부는 바이오가스 생산 목표관리제를 시행한다. 2025년 공공, 2026년 민간에 각각 시행될 예정으로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 하위법령을 제정한다.

지난해에 선정된 통합 바이오가스화시설 설치 시범사업 4곳에 이어 올해 4곳을 추가 선정한다.

친환경 수열에너지 도입과 댐 내 수상태양광 사업을 적극 확대한다.

소양강댐의 심층수로 수열에너지를 생산하여 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스마트 첨단농업단지 등에 활용하는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를 오는 10월 춘천에 착공한다.

또 민간·지자체 건축물 9곳에 수열에너지를 시범적으로 적용하고 수열에너지와 첨단기술(ICT)을 연계한 기술개발(R&D)도 추진한다.

물기술의 최정점에 있는 초순수 산업 분야를 전폭적으로 지원한다.

현재 진행 중인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2025년까지 초순수를 생산할 수 있는 주요 소재·부품·장치 관련 기술과 생산 플랜트의 설계·시공·운영 기술을 국산화한다.

2030년까지 연구개발의 전초기지 역할인 초순수 플랫폼센터를 조성하는 한편, 전문가 양성 과정을 통해 디지털 물관리, 해외진출 특화 등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390명도 양성한다.

세계 최고 수준의 해수담수화 기술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해수담수화 선박 기술을 올해 내로 확보하는 동시에 저탄소·친환경 담수화 플랜트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다.

해외 물시장 수요에 맞춰 물산업 수출 확대를 위해 사우디의 네옴시티, 수도이전을 준비 중인 인도네시아, 전통적으로 물이 부족한 중동국가 등을 대상으로 올해 1조8000억원 규모의 사업 수주를 추진한다.

신진수 환경부 물관리정책실장은 "기후위기 시대, 물관리 백년대계를 다시 짠다는 생각으로 물관리 체계를 전환하겠다"며 "국민 누구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물의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phlox@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