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팬데믹 막는다…"신종인플루엔자 발생 100일 내 백신 개발"
"대유행 초기 대응 위해 방역물자 및 치료제 확보할 것"
질병청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발표
- 김규빈 기자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방역당국이 제2의 팬데믹을 막기 위해 향후 신종 인플루엔자 발생 시 100일 안에 백신을 개발하고, 표본 감시 의료기관을 300개에서 100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6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신종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 2006년 마련되어 2011년과 2018년 두 차례 개정된 이래 6년 만에 전면 개정하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다음 팬데믹으로 신종인플루엔자를 유력하게 지목하고, 국가 계획으로 준비해야 할 중점과제로 권고한 사항을 반영한 것이다.
질병청은 최근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이 지속 보고되는 등 위험수위가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을철 철새 유입 등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위험이 시작되기 전에 선제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2003년 이후 24개국에서 907건의 조류 인플루엔자 A(H5N1)형 인체감염이 보고됐다. 최근에는 지난 4월 미국에서 소에서 사람에 감염이 된 사례가, 지난 3월에는 베트남에서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사람이 사망하기도 했다.
먼저 질병청은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의 피해규모를 예측했다. 고(高)전파율과 고(高)치명률의 상황에서 방역 개입이 없는 경우, 300일 내 인구 대비 최대 약 40%가 감염되고 정점까지 110여일이 소요될 것으로 추계했다. 이러한 대유행 상황에서 방역조치를 통해 정점일에 발생하는 최대 환자 수를 35% 수준으로 감소시키며, 유행 정점기를 110일에서 190일로 지연시켜 그 기간 중 신속하게 백신을 개발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이번 계획에는 감시체계, 자원 확보, 백신 전략 및 원헬스 통합관리체계 구축과 유행 발생 시의 시기별(초기-확산기-회복기) 대응 전략을 담고 있다.
감시체계에서는 신종바이러스 출현을 조기에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역당국은 국외 정보수집을 확대하고 정보검증 체계를 구축하며, 국내 감시를 위해서는 표본감시 의료기관을 300개소에서 1000개소로 확대할 계획이다.
병원체 유전자 분석을 위한 실험실 감시도 현 180개소에서 200개소로 확대하고, 조류인플루엔자를 확인하기 위한 의료기관과 공공검사기관 간 연계도 강화한다. 또 응급실·외래로 내원하는 호흡기감염 환자 대상 원인 미상 감시체계를 신설하게 된다.
민간과 협업해 인공지능과 수리‧통계를 활용한 다학제적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유행 단계별 환자 발생 예측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자원 분야에서는 초기 6개월 대응 가능하도록 전 국민 대비 25% 수준의 치료제를 비축하고, 보호구와 마스크 등 방역물자도 비축해 신속공급이 가능하도록 재난관리자원 통합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운영한다.
신속진단을 위해 원스텝 검사법을 새로이 개발해 현재 72시간 소요되는 것을 12시간 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원스텝 검사법을 사용하면 조류에서 주로 발생하는 아형(H5N1, H5N8, H9N2)이 인체에 감염됐을 때 쉽게 알아낼 수 있다. 확산 시 대규모 검사와 병상 수요에 대비하여 유전자 기반 검사와 신속검사 인프라도 확대하며, 감염병 병상도 현 1100여 개에서 3500여 개로 확대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백신에 있어서는 유행 발생 시 100일 또는 200일 내 백신을 개발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당국은 유행 예측 항원형에 대한 백신 또는 시제품을 사전에 개발하여 유행 시 이를 활용한 신속 개발(100일)하거나, 사전 개발된 항원형과 다른 균주 유행 시 균주 도입단계부터 시작해 새로이 개발(200일)하는 두 가지 상황에 대해 준비한다.
현재 조류인플루엔자인 H5N1 백신은 국내 개발되어 있어 이것의 하위 아형으로 대유행이 발생하는 경우 균주변경 절차를 거쳐 90일 만에 백신을 개발할 수 있다.
백신 신속개발을 위한 mRNA 플랫폼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달 국무회의를 통해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이하 'mRNA 백신 사업')을 추진했다. 과기정통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신속한 백신 개발 및 확보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동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방역당국은 오는 2028년까지 mRNA 백신 플랫폼을 확보할 예정이며, 첫해인 내년도에는 290억 원을 투자하여 mRNA 백신개발 비임상과 임상시험을 지원하고자 정부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에 질병청은 '원헬스 감시'를 통해 인간과 동물을 통합 감시하고, 동물인플루엔자 감시는 가금류와 야생 조류 중심의 현 체계를 포유류와 반려동물로 확장하게 된다.
유행 발생시 대응에 있어 유행 상황별 특성에 따른 전략을 구체화했다. 초기에는 전파 최소화, 확산기에는 중증과 사망 예방, 회복기에는 효과적 복구와 재정비를 위한 계획들을 구체화 했고, '초기 3일' 플랜을 예시로 제시하여 초기 신속 대응을 핵심적으로 다루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인플루엔자는 백신과 항바이러스제라는 대응수단이 있는 만큼 새로운 바이러스 유행 시 백신을 빨리 확보할 수 있도록, 신종 인플루엔자 특성(항원형)에 맞는 백신 시제품을 개발하고, mRNA 등 백신 플랫폼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해 나가겠다"며 "대유행 초기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치료제와 방역물자도 사전에 충분히 비축해서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n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