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국가 관리 필요한 만성질환…급여 통해 적극 치료 필요"

국내 성인 비만 유병률 2021년 기준 38.4%…남성 절반 비만

남가은 대한비만학회 보험법제위원회 위원(고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이 비만 진료 급여화를 위한 건강보험정책 심포지엄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2024. 9. 5/뉴스1 ⓒ News1 황진중 기자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국내에서 비만 환자가 늘어나고 있어 보험 급여를 보장해 적극 치료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비만도 증가는 사망률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 등이 증가하는 것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비만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남가은 대한비만학회 보험법제위원회 위원(고대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은 5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개최된 2024 국제 비만·대사증후군 학술대회에서 '비만의 건강 문제와 비만 진료 급여화의 중요성'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비만학회가 발간한 2023 비만 팩트시트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비만 유병률은 성인 인구의 약 40%에 이른다. 남성의 절반(49.2%)은 비만을 앓고 있다. 여성은 27.8% 수준이다. 유병률은 해마다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학회는 비만은 개인의 생활습관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유전, 환경, 호르몬,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등 다양한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의료적 도움과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심뇌혈관계질환, 암, 수면 무호흡증, 골관절염 등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인 중 하나다. 이와 관련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막대하게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남가은 보험법제위원회 위원은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와 생활습관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면서 "이는 공중보건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에서 절반에 가까운 남성이 비만에 해당한다. 비만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경향은 청년, 청소년, 소아에서 두드러진다"면서 "비만에 따른 질병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이러한 현상은 계속해서 악화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학회는 비만에 대한 적절한 의학적 도움이 이뤄진다면 동반질환에 대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미리 절감하는 준비를 할 수 있다고 봤다. 그러나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중재 방안이나 준비가 마련돼 있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체질량 지수(BMI) 30을 초과하는 2, 3단계 비만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비만대사수술을 제외한 모든 비만 진료와 관리가 비급여로 돼 있어 지속적인 치료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남가은 위원은 "비만도 증가는 사망률 증가와 건강수명 감소와 관련된다.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질환이다"면서 "개인적, 사회적 비용이 막대하게 증가한다. 비만 관리를 통해 동반질환의 비용 효과적 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적절한 급여 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충분한 상담 등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혁신적인 비만 치료제가 출시를 앞두고 있지만 높은 비용 부담으로 사회적 문제가 우려되고 있다. 비만 관리 체계 구축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j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