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러, 북미 '중재자' 역할 자처…제재 기조 변화줄까

러시아, 연일 공개 북미 대화 촉구

(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2017-12-27 12:07 송고 | 2017-12-27 12:16 최종수정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APEC 회담에서 회동했다. © AFP=뉴스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APEC 회담에서 회동했다. © AFP=뉴스1


러시아 정부가 한반도 북핵 해결을 위한 '중재자' 역할을 거듭 자처하고 있다. 국제사회의 제재 일변도 대북 정책을 대화로 틀기위해 더 적극적인 역할에 뛰어든 것으로 보인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26일(현지시간) 기자회견에서 "양국 사이에서 혼자만의 의사로 중재자가 될 수는 없다"며 북미가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중재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CNN에 따르면 아직 미국은 여기에 대한 구체적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러시아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외교적 노력 없이 제재만을 고수하는 국제사회의 대북 접근에 오랫동안 반대해왔다. 그러나 최근 북미 군사 충돌 가능성이 극대화하면서 이제 말뿐이 아닌 적극적인 행동으로 북미 사이 다리를 놓으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 사이 대북 정책 메시지가 엇갈리는 상황이지만 최근 북미 대화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것도 사실이다.

틸러슨 장관은 12일 "북한이 대화하길 원하면 언제든 준비가 되어 있다"며 "전제 조건 없는 첫 만남을 할 용의가 있다"는 파격 제안을 내놓아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 같은 메시지는 틸러슨 장관의 독단적이고 우발적인 발언이라기 보다는 외교 안보라인과의 협의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물론 틸러슨 장관은 15일 안보리 장관급 회의에서는 '전제조건 없는'이란 문구를 삭제했다. 그러나 전면적 원유 금수 외에는 마땅한 대북 제재 카드도 떨어진 상황. 북미 양측 모두 배짱 싸움에 한계가 있는 가운데 러시아나 중국의 중재로 대화가 재개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외교 노력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미 외교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나오고 있다. 리사 콜린스 국제전략문제연구소 동아시아 연구원은 17일 보고서를 통해 지난 25년 동안 북한의 도발 횟수와 북미 외교 접촉을 분석한 결과 양측 외교적 노력이 많을수록 도발이 줄어드는 역상관 관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압박으로 중국이 북한 설득에 한계를 보이는 상황에서 러시아가 대신 '북핵 해결사'를 자처해 국제적 위상을 키우려는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러시아가 남북한과 동시에 우호관계를 맺으며 분쟁 해결에서 미국에 우위를 선점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러시아의 거듭되는 중재자 역할 자처와 북미 대화 촉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에 대한 유류 공급 제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북 결의 2397호를 채택한 지 일주일만에 나온 것이다. 

석유 정제품의 대북 공급량을 바닥 수준으로 끌어내리고 북한의 해외파견 근로자들을 앞으로 2년 내에 북한으로 돌려보내는 이 결의안은 중러가 협조하면서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단 이때 바실리 네벤지아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 긴장 악화를 막으려는 우리의 요구는 불행히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yjw@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