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인명구조에 쓰이는 헬기 구매 제각각, 왜 공구안하나

[허탈한 관청용헬기시장 -하] "공구, 가성비 높일 지름길"
"기관별 낱개 구매…입찰 투명성 떨어지고 비용에도 불리"

(서울=뉴스1) 심언기 기자 | 2017-04-03 06:00 송고 | 2017-04-03 11:30 최종수정
편집자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개발한 다목적 국산 헬기 '수리온'이 우수한 성능을 검증받으며 해외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정작 안방 관청용 시장에서는 마음껏 날개를 펴지 못하고 있다. 싼 기종을 주로 찾게하는 관행이 일단 큰 벽이다. 후진적 관청용 헬기 시장 환경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짚어봤다.
14일 오후 육군 2작전사령부에서 열린 기동예비전력 전개 훈련에서 특공부대 장병들이 수리온(KUH-1) 항공기에서 패스트로프를 하고 있다. 2017.3.14/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14일 오후 육군 2작전사령부에서 열린 기동예비전력 전개 훈련에서 특공부대 장병들이 수리온(KUH-1) 항공기에서 패스트로프를 하고 있다. 2017.3.14/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성능이 검증된 국산 다목적 헬기 '수리온'을 국내 관청들이 더욱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공동구매를 확대하자는 의견이 나온다. 수리온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2013년 개발한 국산 헬기로 조종석을 제외하고 12인 정도가 탑승할 수 있는 크기다.

경찰, 해경, 방재기관들이 따로 따로 구매하다 보니 가성비를 높일 수 있는 수요압력을 못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입찰을 개별 기관들이 필요할 때 제각각 진행하다보니 구매절차의 투명성도 도마에 오른다. 분명하지 않은 이유로 요구하는 성능이나 가격에 제한을 둘 경우 시비가 일 가능성이 많다. 게다가 기종이 수십개로 난립하면서 정비보수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문제는 덤이다.
3일 KAI와 정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도입된 관청용 헬기는 중대형급만 7종이고, 중소형은 13종에 달한다. 관청용헬기를 사용하는 기관은 경찰·해경·산림청·지자체 소방본부 등 4곳에 불과한데 20종의 헬기들이 따로따로 운용되고 정비도 대부분 외주에 맡기는 실정이다.

적은 수의 헬기를 운용하면서도 기종이 다양하다보니 정비할 때 부품활용성은 크게 떨어진다. 자연히 외주에 의존하는 MRO(정비·보수·운용) 비용도 많이 들 수밖에 없다. 

헬기는 한번 플랫폼이 개발되면 군용은 물론 환자수송, 지역 정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산림청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러시아산 카모프-32기종은 해경과 소방본부에서도 쓰고 있다. 수리온 헬기 역시 군용뿐 아니라 의료수송, 산림 진화, 해양 정찰 등 여러 공공분야에서 파생적 활용이 가능하다.
이같은 범용성을 감안하면 공동구매로 기종 단일화하면 구매비용도 줄이고 정비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기관들이 각자 낱개로 헬기를 도입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며 "조달청을 통해 각 기관의 도입 수요를 주기적으로 모두 모아 공동구매하는 것이 좋은 기종을 더욱 싸게 구입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관계자는 "어차피 헬기 플랫폼은 같기 때문에 구입처별 용도는 자동차처럼 옵션으로 구성하면 된다"고 말했다.

현재 청 단위 정부조직인 산림청과 경찰청은 조달청을 통해 구매, 지방기관에 배분하고 있고 소방용 헬기는 지자체별로 별도 입찰을 실시하고 있다. 만약 청단위, 본부단위로 이뤄지던 구매를 4곳 기관 모두의 공동구매로 확대하면 수리온을 포함, 구입기종의 성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고가치 입찰제를 확대하게 하는 여건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은 2000년대 들어 최저가 낙찰제에서 최고가치 낙찰제로 입찰 방식을 바꾸고 있다"며 "싼 가격으로 헬기를 도입하더라도 운용 과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지거나 필요한 성능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자료 : 각 기관 취합 © News1 최진모 디자이너
자료 : 각 기관 취합 © News1 최진모 디자이너



eonki@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