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제2캠퍼스로 도약하려던 대학가…학내 분규로 상처투성이

"양적 팽창 아닌 교육의 질 제고 노력 필요" 지적도

(서울=뉴스1) 김현정 기자 | 2017-02-12 07:00 송고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학생들이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행정관 앞에서 '서울대 본관점거 농성 100일, 징계반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뉴스1 © News1
서울대학교 총학생회 학생들이 지난달 17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행정관 앞에서 '서울대 본관점거 농성 100일, 징계반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뉴스1 © News1
제 2캠퍼스 설립을 놓고 서울 주요 대학가가 몸살을 앓고 있다. 캠퍼스 확장을 통해 대학의 경쟁력을 높여보자는 취지였지만 학내 분규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오히려 학교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12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는 시흥캠퍼스를 둘러싼 학내 갈등이 지난해에 이어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시흥캠퍼스 실시협약 철회를 촉구하며 서울대 학생들이 100일이 넘도록 본부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다.
서울대와 학생들의 갈등은 지난 8월 서울대가 경기 시흥시와 시흥캠퍼스 조성을 위한 실시협약을 체결하면서 불거졌다. 조선, 드론 등 공간 제약으로 관악캠퍼스에 연구하기 어려웠던 분야를 중심으로 첨단연구공간을 설립할 목적에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학생들과 소통 없이 대학이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며 "교육적인 고려가 전혀 없는 수익성 사업일 뿐"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제 2캠퍼스를 둘러싼 학내 갈등은 서울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서강대는 지난 2010년부터 추진해온 남양주캠퍼스 조성 문제로 남양주시와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다.

서강대는 재정 부족 등의 이유로 이사회가 남양주캠퍼스 건립을 반대하면서 학내 갈등이 벌어졌다. 결국 유기풍 총장이 지난해 6월 사퇴하면서 사건은 일단락되는 듯 했다. 하지만 남양주시가 사업 무산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의 소지는 남아있는 상태다.
지난 2011년 인천 송도에 문을 연 연세대 국제캠퍼스도 건립 전 학내 구성원의 반대가 많았다. 공과대학과 국제대학을 새로 짓는 캠퍼스에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교양학부가 들어가는 정도로 마무리됐다.

대학에서는 제 2캠퍼스 설립을 통해 새로운 발전 동력을 모색해보겠다는 입장이다. 부동산 투자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도 덤으로 얻을 수 있다.

제 2캠퍼스 건립을 추진하다가 접은 대학들도 있다. 이화여대는 경기 파주시 미군기지 반환부지에 캠퍼스를 설립할 계획이었으나 토지가격 상승으로 포기했다. 중앙대도 검단신도시에 캠퍼스를 조성하려 했으나 투자자를 찾지 못해 사업을 접었다. 건국대는 의정부 미군기지 반환부지에 제3캠퍼스를 추진했지만 미군기지 반환 일정이 늦춰진데다 학생수 감소로 이득이 없다고 판단해 백지화했다.

반면 성공적인 사례도 있다. 동국대가 지난 2011년 경기 고양시에 문을 연 '바이오메디캠퍼스'가 그 예다. 기존 동국대 일산병원에 의과대학과 한의과대학, 바이오시스템대학 등을 결집해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시너지 효과를 내겠다는 취지에서 설립됐다.

하지만 제 2캠퍼스 설립이 교육의 질 제고가 아닌 양적 팽창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희성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대학이 제 2캠퍼스 조성을 통해 규모의 경쟁에 치중하는 것은 우려할 만한 일"이라며 "교육 기관이 경제 논리에 의해 움직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대학 구성원들과 캠퍼스 이전 효과를 충분히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박순준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이사장은 "구성원들에게 캠퍼스 이전의 효과를 충분히 설명하고 장기적으로 설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며 "소통하지 못하는 대학의 모습을 보고 구성원들이 오히려 불신하고 오해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고 밝혔다.


hjkim91@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