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정윤회 문건' 유출 배후에도 최순실의 그림자가?

유출 처벌 경찰, 수사 결과 뒤집는 주장 제기
"당시 최순실 정보 있었는데 검찰 수사 안해"

(서울=뉴스1) 박태정 기자 | 2016-11-11 22:44 송고 | 2016-11-11 23:51 최종수정
최순실씨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 의혹을 받은 최씨의 전 남편 정윤회씨.  /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최순실씨에 앞서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 의혹을 받은 최씨의 전 남편 정윤회씨.  /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2014년 '청와대 문서유출 사건' 당시 민정수석실 행정관이었던 박관천(50) 경정이 작성한 정윤회 비선실세 문건을 고 최경락 경위가 언론에 유출했다는 검찰 수사 결과를 뒤집는 주장이 제기돼 파장이 예상된다.

청와대 유출 문서의 핵심인물로 등장하는 정윤회씨(61)가 자신과 관련된 문건유출 사건이 불거지면서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의 비선실세에서 축출됐다는 점에서 당시 문건을 언론에 제공한 인물 혹은 세력이 누구인지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 사건으로 처벌을 받은 서울경찰청 한일(46) 전 경위가 당시 승마협회와 관련된 정보를 캐고 있었고 우병우(49) 민정수석비서관실의 회유를 받았다는 주장이 더해져 최근 파문을 몰고 온 최순실씨(60)가 관여됐을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11일 한일 전 경위는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문건 유출자로 지목돼 수사받을 때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의 회유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2014년 12월8일 오후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의 한 행정관이 "문건을 최경락 경위에게 넘겼다고 진술하면 불기소도 가능하다"며 협조를 종용했다는 것이다.  

사건 당시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 소속이었던 한 전 경위는 박관천 경정이 작성한 문건을 복사해 같은 분실 소속 고 최경락 경위와 공유했다.
2014년 11월28일자 세계일보를 통해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이 작성했다고 보도된 ‘靑비서실장 교체설 등 VIP측근(정윤회) 동향’이라는 제목의 문건은 정윤회씨가 '문고리 권력 3인방', '십상시(十常侍)'로 불리던 박근혜 대통령의 청와대 보좌진을 주기적으로 만나 국정에 개입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최 경위는 언론에 이 문건을 제공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은 뒤인 12월13일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검찰은 최 경위가 이 문건을 언론에 유포했다는 결론을 내리며 관련 수사를 마무리지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정윤회씨는 검찰 조사를 받는 등 공경에 처했고 결국 비선실세에서 밀려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한 전 경위가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입장을 번복했다. 자살한 최 경위가 죽음 직전까지 자기가 유출한 것이 아니라며 억울해 했다는 것이다. 더욱이 한 전 경위는 승마협회와 관련된 정보를 캐고 있었고 당시 우병우 민정수석비서관실의 회유를 받았다는 주장도 했다. 

2년 여가 지난 시점에서의 한일 전 경위의 주장은 당시 수사를 원점으로 되돌리기에 충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특히 최순실씨가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는 비선실세로 국정에 개입했다는 증거가 언론보도와 검찰 수사를 통해 속속 확인되고 있어 당시 수사에도 최씨가 개입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2014년 사건 당시 검찰이 압수한 한일 전 경위의 휴대전화에는 '최순실이 대통령 개인사를 다 관장한다'는 정보도 들어 있었지만 검찰은 수사 때 이에 대해 전혀 묻지 않았다는 한 전 경위의 주장도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당시 청와대 비선실세 문건을 특정 언론에 건내 기사화되도록 한 건 비선실세로 지목된 정윤회씨를 박근혜 대통령의 주변에서 제거하려는 누군가였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정윤회 문건을 언론에 제공한 배후에 최순실씨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 전 경위는 "당시 문건을 유포하려고 복사한 것도 아니다. 당시에 승마협회 정보를 캐고 있었던 게 실수였다는 생각이 든다"고도 했다.

박근혜 정부의 ''비선실세''로 국정을 농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60ㆍ최서원으로 개명)씨. /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박근혜 정부의 ''비선실세''로 국정을 농단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60ㆍ최서원으로 개명)씨. /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최순실씨는 정윤회씨와 2014년 5월 이혼했다. 한동안 외부와의 접촉을 끊고 지내던 정씨는 올해 2월 최씨를 상대로 재산분할 소송이 제기하면서 언론지상에 다시 등장한다.  

정씨의 소송 제기를 처음 보도한 TV조선는 지난 7월 미르재단의 수상한 자금 모금을 단독보도해 '최순실 게이트'의 포문을 열었고 그로부터 2개월후 정씨가 소송을 돌연 취하한다. 소송 취하 시점이 최씨가 미르ㆍK스포츠재단 설립 의혹에 연루되기 직전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최실순씨의 국정농단 사실이 만천하에 드러난 경위를 정윤회씨와 연결지을 수 있다는 관측이다. 최순실 게이트의 결정적인 증거로 제시돼 온 최씨 소유로 보이는 태블릿PC가 언론을 통해 공개되는데 정씨가 모종의 역할을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정두언 전 새누리당 의원은 지난달 28일 "문제의 태블릿PC에 담긴 자료가 정씨와 최씨가 이혼하기 전인 2014년 정도까지 수정되거나 작성된 점을 볼 때 정씨가 배후로 의심된다"며 정윤회 배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정윤회씨는 한 인터넷언론과의 문자 대화를 통해 "그 분(정두언 전 의원) 참 황당하다. 근거도 없는 그런 얘기를 함부로…. 저는 오래전부터 모두 잊고 조용히 살고 있다"고 반박했다.

정씨는 1998년 보궐선거로 박근혜 대통령이 정계에 입문할 당시 비서실장을 맡아 이후 2004년까지 박근혜 의원 시절 보좌관을 맡았다. 이후 공식 직함을 맡지 않았지만 박근혜 대통령 취임 이후에도 소위 '문고리 3인방'을 배후에서 조종하는 인물로 지목돼 왔다.

정윤회 문건 유출 사건 이후 정씨는 강원도 횡성에 거처를 마련하고 두문불출하며 지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순실씨가 국정농단과 인사개입 등 의혹을 계속 부인하는 등 검찰 수사에 비협조적인 상황에서 정윤회씨의 증언이 결정적인 수사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정씨가 최씨와 이혼 전까지 박근혜 대통령의 기밀 국정문건을 받아왔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정윤회씨에 대한 검찰의 소환조사 역시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2014년 당시 유출됐던 정윤회 문건의 진위여부에 대한 재수사가 특검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정윤회씨는 <뉴스1> 취재 결과 1주일 전쯤 강원도 횡성 자택에서 짐을 싼 가방을 자신의 차에 싣고 떠나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


ptj@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