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생리의학상에 '코로나 mRNA백신 개발' 헝가리·미국인 공동수상(종합)
카탈린 카리코·드루 와이스먼 박사…유펜서 만난 인연으로 공동연구
염기변형으로 체내 염증반응 최소화…사스·지카 이어 코로나에 적용
- 김성식 기자
(서울=뉴스1) 김성식 기자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화이자와 모더나가 만든 코로나19 예방용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한 헝가리인 카탈린 카리코(68·여) 박사와 미국인 드류 와이즈먼(64) 박사가 공동 수상했다.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2일 mRNA 백신 개발에 중요한 '뉴클레오시드 염기 변형'을 발견한 카리코 박사와 와이즈먼 박사의 공로를 인정해 2023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수상자들은 mRNA가 면역 체계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바꾼 획기적인 발견을 통해 현대 인류 건강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시기, 전례 없는 속도로 백신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다고 연구소는 설명했다.
카리코 박사와 와이즈먼 박사는 mRNA 기술을 개발해 코로나19 백신 상용화를 앞당겼다는 평가를 받아 올해 유력 수상 후보자로 꼽혔다. 기존의 단백질·바이러스벡터 기반 백신은 대규모 세포배양이 필요해 단기간 내 개발이 불가능한 반면, mRNA 백신은 체외 전사라는 방법을 사용해 이 과정을 생략했다.
1980년대 mRNA 백신이란 개념이 고안됐지만 체외에 전사된 mRNA는 불안정한 데다 체내에 주입될 경우 심각한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관련 기술 개발은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카리코 박사는 1990년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유펜) 의대 조교수로 재직하던 시절부터 mRNA를 상용화하기 위해 전념했다. 이 때 같은 대학에서 만난 실험 동료가 면역학자인 와이즈먼 박사였다. 두 사람은 서로다른 RNA 유형이 면역체계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집중했다.
이 과정에서 포유류 세포에서 추출한 RNA의 염기(base)는 화학적으로 변형하지만 시험관에서 전사된 mRNA의 경우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를 토대로 변형된 염기가 mRNA에 포함될 경우 염증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코로나19가 발병하기 14년 전 논문을 통해 2005년 발표됐다.
2008년과 2010년 발표된 추가연구에선 RNA에 염기 변형으로 생성된 mRNA를 전달하면 변형되지 않은 mRNA에 비해 염증 반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단백질 생산이 현저하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렇게 개발된 mRNA 기술은 여러 제약회사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과 지카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백신 신제품에 적용됐다. 코로나19 백신에도 활용돼 전세계적으로 총 130억회 이상 접종됐다.
카리코 박사는 현재 헝가리 세게드대 교수이면서 동시에 미국 펜실배니아대(유펜) 의대에서 겸임교수직을 맡고 있다. 1955년 헝가리 숄녹에서 태어났다. 와이즈먼 박사는 현재 펜실베이니아대(유펜) RNA혁신연구소 이사를 맡고 있다. 1959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렉싱턴에서 태어났다.
노벨상은 스웨덴의 다이너마이트 발명가이자 부유한 사업가였던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으로 제정됐다. 1901년 이래 과학·문학·평화·의학 등 분야 업적에서 수상자를 선정해왔으며, 1969년에는 경제학상이 추가됐다. 이 중 생리의학상은 과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 중 하나로, 매년 카롤린스카 연구소에서 수여한다.
이날 노벨 생리의학상에 이어 3일 물리학상, 4일 화학상, 5일 문학상, 6일 평화상, 9일 경제학상 수상자가 차례로 발표될 예정이다.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 문학상, 경제학상 시상식은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에서, 평화상은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열린다.
통상 스웨덴과 노르웨이 수교국 대사가 시상식에 초청받지만 러시아, 벨라루스는 각각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거나 이를 옹호했다는 이유로, 이란 대사는 인권 탄압을 이유로 올해 초청이 번복됐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이 받는 상금은 작년보다 100만스웨덴크로나 많은 1100만 스웨덴크로나(약 13억6000만원)를 받는다. 상금 액수가 바뀐 이유는 노벨이 남긴 유산을 투자해 수상식 진행 비용을 충당하는데, 관련 투자 수익이 매년 상이하기 때문이다.
seongs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