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이후에도 되풀이…반복되는 인재 막으려면

재난 예측 시스템 마련해야…대응 매뉴얼 제대로 작동 필요
재난 전문 인력 육성…시민 개개인 재난 대응 역량도 중요

핼러윈 데이를 앞둔 27일 서울 마포구 홍대거리에서 경찰관들이 시민 통행로를 안내하고 있다. 2023.10.27/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조현기 임윤지 기자 =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1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서는 비극이 되풀이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과천 방음터널 화재, 지난 7월 청주·예천 등 물난리·산사태 등이 대표적이다.

참사로 비화한 배경에는 '인재(人災)'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를 최소화하려면 정부의 재난 예측 시스템 마련과 제대로 된 대응 매뉴얼 작동, 개인 대응 역량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29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재난 전문가들은 대형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재난 예측·분석 시스템을 통한 정부의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15년 간 재난 분야를 연구해온 류상일 동의대 소방행정학과 교수는 "20년 전에 재난학회에서 '앞으로 20~30년 뒤 대한민국에 어떤 재난이 위험합니까'라는 내용으로 재난 전문가 대상 조사를 진행했다"며 "당시 1위는 '감염병', 2위는 '다중 밀집 사고'였는데, 각각 코로나19, 이태원참사로 나타난 셈"이라고 했다.

그는 "수십년 전부터 재난이 이미 예견됐지만 간과된 것"이라며 "정부는 전문가들의 분석과 예측 보고서 등에 좀 더 귀를 귀울여 (앞으로 발생가능한 재난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비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대응 매뉴얼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는 점도 피력한다.

문현철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호남대 경찰행정학과 교수)은 "재난이 발생하면 솔직히 국회, 언론 등 모두가 다 '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면서 "그런데 사실 20년 전 만들어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지금 재난과 관련한 고민 그리고 대응이 모두 담겨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법에 정해진 대응을 미리 실천했으면 이태원 참사, 오송 참사도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법에 명시된 재난 대응을 제대로 실천하자"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재난 대응 전문 인력의 양성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박재성 숭실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서울시 안전자문단 위원)는 "재난 관련 대응은 법과 제도, 교육과 훈련도 중요한데 무엇보다 중요한 건 재난에 대한 경험과 업무의 연속성"이라며 "우리는 재난 관련된 인력의 전문성도 부재하고 경험이 있더라도 금방 다른 곳으로 옮긴다"고 전문 인력의 부재를 지적했다.

시민 개개인의 재난 대응 역량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현대사회에서 국가가 모든 공간·상황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건 불가능하다"며 "국민들도 스스로가 안전정보를 활용하고 상황에 맞는 위험을 인지해 행동할 수 있는 요령을 생활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choh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