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립준비청년에게 최장 5년간 월세 20만원 지원(종합)
의료보험 지원, 취업 성공하면 '새출발 응원금' 50만원
자립준비 이전 초등학생 때부터 적성 검사·레슨비 지원
- 박우영 기자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서울시가 '자립준비' 기간에 한정됐던 지원을 아동기·'자립지원 이후'로 확대하는 등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전면적인 지원에 나선다.
서울시는 24일 이 같은 내용의 전국 최초 자립준비청년 중장기 마스터플랜(2024~2028년)을 발표했다.
◇5년간 총 1065억 원 투입…의료비 신규 지원
시는 2021년 자립준비청년의 실질적인 자립 실현을 위한 종합계획(1단계)을 시작으로 2022년 2단계, 2023년 3단계에 돌입하며 주거, 일자리, 심리 등 각 분야에서 지원을 제공해왔다.
마스터플랜은 △꿈 찾고 키우기 △자립역량 기르기 △든든한 첫 출발하기 △지역사회 함께하기 4대 분야의 12개 핵심과제·30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됐다. 5년간 총 1065억 원을 투입한다.
먼저 자립준비청년 당사자들의 욕구가 가장 큰 경제적 자립 지원을 위해 기존 자립정착금(2000만 원), 자립수당(월 50만 원)에 더해 주거비, 의료비(보험료) 지원을 새로 시작한다. 취업지원도 강화한다.
내년부터 보호종료 5년 이내 자립준비청년에게 민간 월세, 기숙사비 등 주거비를 월 최대 20만 원까지 신규로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민간 전·월세, SH·LH 공공임대 및 기숙사 거주자다. 기존에는 공공 임대주택에 입주한 청년들에게만 월세, 주거 환경 조성비를 지급했다.
월 임대료, 보증금 대출이자, 기숙사비를 지원한다. 복권기금으로 서울시가 매입한 '꿈나눔하우스'(주택 22개소) 이용대상도 기존 자립준비청년에서 보호연장 아동까지 확대한다.
보호종료 후 단체 상해보험 신규 가입을 지원해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의료부담을 덜어준다. 함께 병원에 가줄 사람이 필요한 자립준비청년을 위해 청년전담 동행매니저가 '도어 투 도어'(Door to Door)로 동행해주는 서비스도 새로 시작한다.
◇취업에 성공한 청년에게 50만 원 '새출발 응원금' 지원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구직프로그램을 연계해 상담, 일자리 탐색, 취업을 지원한다. 취업에 성공한 청년들에게는 50만 원의 '새출발 응원금'을 지원한다.
자립준비청년 이전인 보호아동 시기부터 꿈을 찾고 키워나가도록 개인별 역량에 맞는 성장발달을 지원한다. 자립준비청년들이 자신의 적성을 모르고 대학 진학이나 취업으로 진로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은만큼, 어릴 때부터 진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취지다.
초등학생 시기부터 레슨비 등을 지원하는 '내 꿈 찾기 프로그램'과 중‧고등학생 시기에 구체적인 진로 설정을 돕는 '1대1 진로설계 컨설팅'을 새롭게 운영한다. 또 전체 양육시설 아동이 '서울런'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하고, 유튜브·미용‧방송 분야 현직자 등 관심 분야 선배들을 만나 조언을 듣는 '전문가 멘토특강'도 주기적으로 개최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자립준비청년 당사자들은 본인 적성을 몰라 취업 이후에도 만족도가 떨어지고 직업 생활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며 "시설에서 생활할 때 관련 교육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수용해 진로 설계를 돕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자립지원 기간 이후 사회연계체험 프로그램 운영
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이 실제 자립생활 경험으로 자립에 대한 동기와 용기를 얻고 자립준비를 할 수 있도록 미래설계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들이 자기만의 방에서 생활하며 자립심을 키울 수 있도록 1인 1실을 단계별로 전면 확대한다. 또 직접 요리하기, 공과금 납부 등 일상생활을 경험해보는 사회연계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정서치료가 필요한 아동을 위해서는 '서울아동힐링센터'를 설치‧운영하고, 생활시설에서 '동행정원'을 직접 만들고 가꾸며 심리적‧정서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자립지원 기간(5년)이 끝난 이후에도 청년들이 지역사회에 의지하고 도움을 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제도를 마련했다.
구체적으로 민관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해 지원이 필요한 자립청년과 이에 맞는 협력자원을 연계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민간 후원금으로 2028년까지 총 2억 원의 'SOS자금'을 조성해 자립지원 기간 종료 이후의 청년에게 일어날 수 있는 긴급위기 상황 등에 대응한다. 보호종료 이후 고립감을 느끼는 청년들을 위해서는 당사자간 연결망 구축을 돕는다.
서울시는 마스터플랜의 체계적인 실행을 위해 자립지원전담기관 인력 확충·조직개편을 시행하고 전담기관 누리집도 고도화할 예정이다.
alicemunr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